r2
r1

(새 문서)
1[[분류:케이팝 데몬 헌터스]][[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5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분류:HDR 지원 넷플릭스 콘텐츠]][[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분류:어반 판타지 영화]][[분류:미국의 음악 영화]][[분류:미국의 뮤지컬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미국 공포 영화]][[분류:미국의 코미디 영화]][[분류:오컬트 영화]][[분류:퇴마물]][[분류:코미디 공포]][[분류:아이돌물]][[분류:트위터/밈]][[분류:K-POP]][[분류: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분류:대한민국(21세기)/창작물]][[분류:조선/창작물]][[분류:한미관계]][[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
2[include(틀:접근 제한, 문서명=케이팝 데몬 헌터스)]
3[include(틀:토론 중, 문서명=케이팝 데몬 헌터스, 토론사유=의문 및 떡밥 문단 관련 기준 정립의 필요성 제안)]
4[include(틀: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제작 장편 작품)]
5[include(틀:케이팝 데몬 헌터스)]
6||<-2><table align=right><table width=550><table bordercolor=#000080,#9351ef><bgcolor=#000080,#9351ef><table bgcolor=transparent><table color=#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9351ef, #000080)"
7{{{#afeeee,#afeeee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영화#s-2.2|{{{#ff69b4,#ff69b4 NETFLIX 오리지널}}}]][br]{{{+1 케이팝 데몬 헌터스}}}''' (2025)[br]K-Pop Demon Hunters}}}}}} ||
8||<-2><nopad> [[파일:케이팝 데몬 헌터스.jpg|width=100%]] ||
9||<width=30%><colbgcolor=#000080,#000080><colcolor=#afeeee,#afeeee> '''장르''' ||[[어반 판타지]], [[음악물|음악]], [[뮤지컬]], [[슈퍼히어로물|슈퍼히어로]], [[엑소시즘물|퇴마]], [[액션물|액션]], [[코미디 공포|코미디 호러]], [[오컬트]], [[아이돌]] ||
10|| '''감독''' ||매기 강[* 한국 이름은 강민지, [[한국계 캐나다인]]이다.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Creator/MaggieKang|#]] 5살 때 아버지 회사 일로 [[토론토]]에 갔는데 1-2년만 체류할 줄 알았으나 5년 뒤 이민을 가게 됐다. 초등학생 때 여름방학은 모두 [[대한민국|한국]]에서 보냈기에 [[대한민국/문화|한국 문화]]에 친숙하다고 한다. [[https://www.ajunews.com/view/20250626090128188|#]]][br]크리스 아펠한스[* [[한국계 미국인]] 소설가 모린 구(Maurene Goo) 작가의 남편. 공교롭게도 구 작가 역시 2019년 [[K-POP]] 아티스트를 소재로 한 'Somewhere Only We Know' 라는 소설을 냈으며 현재 이 작품도 [[넷플릭스]]에서 드라마화가 확정되어 제작 준비 중이다.] ||
11|| '''각본''' ||다냐 히메네스[br]해나 맥메찬[br]매기 강[br]크리스 아펠한스 ||
12|| '''원안''' ||매기 강 ||
13|| '''제작''' ||미셸 웡 ||
14|| '''출연''' ||[[아덴 조]], [[안효섭]], 메이 홍, 유지영, [[김윤진]], [[켄 정]], [[이병헌]] 외 ||
15|| '''편집''' ||네이선 샤우프 ||
16|| '''음악''' ||마르셀루 우쇼아 자르부스 ||
17|| '''제작사''' ||[[넷플릭스]][br][[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br][[컬럼비아 픽처스]][br][[https://creativebc.com/|크리에이티브 BC]] ||
18|| '''배급사''' ||[[넷플릭스]] ||
19|| '''공개일''' ||[[세계|[[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5년]] [[6월 20일]] ||
20|| '''화면비''' ||2.35:1 ||
21|| '''상영 시간''' ||99분 (1시간 39분) ||
22##|| '''제작비''' ||- ||
23||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링크=81498621)] ||
24||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212529,#e0e0e0 12세 이상 관람가}}}]]'''[*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width=40]]][*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에서 네 번째로 12세를 받았다.]
25----
26[[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_logo.png|height=20]]]] ||
27|| '''링크''' ||[[https://www.sonypicturesanimation.com/projects/films/kpop-demon-hunter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kpopdemonhuntersnetflix|[[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28
29[목차]
30[clearfix]
31== 개요 ==
32||<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80,#9351ef><table bgcolor=#000080,#000080><table color=#afeeee,#afeeee><nopad> [[파일:케데헌 넷플 와이드 포스터.jpg|width=100%]] ||
33[* 포스터 배경은 광화문 주변, KT광화문빌딩에서 바라본 세종문화회관 옥상 부근 전경을 참고 및 변형한 것으로 추측됨]
34
35[[2025년]] [[6월 20일]] 공개된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영화#2020년대|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
36
37[[대한민국]]의 [[K-POP]] [[아이돌]]을 소재로 하는 최초의 해외 제작 애니메이션이며, 역사상 최초로 K-POP 음악을 활용한 뮤지컬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 줄여서 '케데헌'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영미권]]에선 'KDH'라고 줄여 부르고 있다.
38
39==# 개봉 전 정보 #==
40 * 세계적 인기를 누리는 케이팝 걸그룹이 주인공으로 이들이 가수로 활동하는 와중에 비밀리에 악의 세력을 물리치는 악마 사냥꾼으로도 활약하는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라고 한다.
41 * [[슈렉 시리즈]]의 제작자 애런 워너도 프로듀서로 제작에 합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42 * [[TWICE]]의 [[정연]], [[지효]], [[채영]]이 사운드트랙에 참여한다는 것을 공개했다.
43
44=== 포스터 ===
45||<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80,#9351ef><table bgcolor=#000080,#000080><table color=#afeeee,#afeeee><nopad> [[파일:케이팝 데몬헌터스 포스터(한국).jpg|width=100%]] ||
46|| '''▲ 포스터''' ||
47
48=== 티저 포토 ===
49||<table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bordercolor=#000080,#9351ef><tablebgcolor=#000080,#000080><tablecolor=#afeeee,#afeeee><width=33.3%><nopad> [[파일:루미_티저포토.jpg|width=100%]] ||<width=33.3%><nopad> [[파일:미라_티저포토.jpg|width=100%]] ||<width=33.3%><nopad> [[파일:조이_티저포토.jpg|width=100%]] ||
50|| '''▲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afeeee,#afeeee 루미}}}]]''' || '''▲ [[미라(케이팝 데몬 헌터스)|{{{#afeeee,#afeeee 미라}}}]]''' || '''▲ [[조이(케이팝 데몬 헌터스)|{{{#afeeee,#afeeee 조이}}}]]''' ||
51||<-3><nopad> [[파일:사자보이즈_티저포토.jpg|width=100%]] ||
52||<-3> '''▲ [[Saja Boys|{{{#afeeee,#afeeee 사자 보이즈}}}]]''' ||
53
54== 예고편 ==
55||<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0080,#9351ef><tablebgcolor=#000080,#000080><tablecolor=#afeeee,#afeeee><nopad> [youtube(AzCAwdp1uIQ)] ||<nopad> [youtube(xQnsFqn44uo)] ||
56|| '''▲ 공식 예고편''' || '''▲ 한국어 공식 예고편''' ||
57
58=== 시놉시스 ===
59||<tablealign=center><tablewidth=650><tablebgcolor=#000000,#000000><table bordercolor=#000000,#9351ef><color=#fff,#fff><keepall> {{{#!wiki style="margin: +5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60[[파일:케데헌 한글 로고.jpg|width=250]]
61
62케이팝 슈퍼스타 루미, 미라, 조이. 매진을 기록하는 대형 스타디움 공연이 없을 때면 이들은 또 다른 활동에 나선다. 바로 비밀 능력을 이용해 팬들을 초자연적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br]}}} ||
63
64== [[케이팝 데몬 헌터스/등장인물|등장인물]] ==
65[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케이팝 데몬 헌터스/등장인물)]
66
67== [[케이팝 데몬 헌터스/줄거리|줄거리]] ==
68[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케이팝 데몬 헌터스/줄거리)]
69
70==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사운드트랙]] ==
71[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
72
73== [[케이팝 데몬 헌터스/무대탐방|무대탐방]] ==
74[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케이팝 데몬 헌터스/무대탐방)]
75
76== 평가 ==
77[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78IMDb=tt14205554, IMDb_user=7.7, IMDb_highlight=display,
79##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80로튼토마토=kpop_demon_hunters, 로튼토마토_tomato=97, 로튼토마토_popcorn=92,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81메타크리틱=kpop-demon-hunters, 메타크리틱_critic=76, 메타크리틱_user=8.2,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82레터박스=kpop-demon-hunters, 레터박스_user=3.7,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83##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84##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85##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86##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87##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88왓챠=mW42oMq, 왓챠_user=3.5, 왓챠_highlight=display,
89키노라이츠=143536, 키노라이츠_light=95.33, 키노라이츠_star=3.6,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90네이버영화=케이팝 데몬 헌터스, 네이버영화_audience=9.67,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91##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92## CGV=, CGV_egg=, ## CGV_highlight=display,
93##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94##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95## 씨네21=,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96##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97## 맥스무비=M000120637,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98알로시네=291011, 알로시네_presse=없음, 알로시네_spectateurs=4.3,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99MYmoviesit=2025/kpop-demon-hunters, MYmoviesit_MYMOVIES=이탈리아미개봉, MYmoviesit_CRITICA=없음, MYmoviesit_PUBBLICO=없음,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100키노포이스크=8043830, 키노포이스크_user=7.9,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101TMDB=803796, TMDB_user=84, ## TMDB_highlight=display,
102무비파일럿=k-pop-demon-hunters, 무비파일럿_user=7.1,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103JustWatch=keipab-demon-heonteoseu, JustWatch_user=91, ## JustWatch_highlight=display,
104##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105## 야후재팬=, 야후재팬_user=, ## 야후재팬_highlight=display,
106Filmarks=117010, Filmarks_user=3.8, ## Filmarks_highlight=display,
107도우반=35391124, 도우반_user=6.6, ## 도우반_highlight=display,
108## 무비스=, 무비스_user=, ## 무비스_highlight=display,
109##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110##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111## 파리부시네벌스=, 파리부시네벌스_user=, ## 파리부시네벌스_highlight=display)]
112## 메타크리틱의 표본이 지나치게 적기 때문에 왓챠로 하이라이트 교체합니다.
113>'''기획을 제대로 관철시키는 스타일과 귀에 쏙쏙 꽂히는 수록곡의 파워.'''
114>----
115>[[이동진]] (★★★)
116
117>'''단순히 [[K-POP]]에 대한 러브레터가 아닌, [[K-POP]]을 둘러싼 문화에 대한 예리한 관찰, 그리고 흔들리지 않는 시선'''
118>----
119>- 데이비드 티자드(David Tizzard) / [[코리아 타임스]] 리뷰 中
120 * 처음 공개되었을 때는 제목에 '케이팝'이 대놓고 들어가는 것부터 [[한류]]의 인기에 편승하려는 것, 또는 흔한 국뽕 계열 미디어가 아니냐는 냉소적인 인식이 있었다.[* 동시에 공개된 [[https://www.chosun.com/entertainments/movie/2021/03/09/CJX7B5KR75GCRPOU4ZWUYHSFEU/|컨셉 아트]] 역시 국적 불명의 이상한 복장을 입은 아이돌들이 등장해서 [[김치 전사]] 같은 괴작을 연상시킨 면도 있다.] 게다가 2021년에 제작을 발표한 이후로 4년간 소식이 없기까지 해서[* 공개 후 감독 매기 강의 [[https://x.com/maggiemkang/status/1925608824498790816?t=L9UsqzNn_OdTycZ_Sh5Y8Q&s=19|코멘트]](7 years later, it lives.)를 보면 그보다 긴 7년 동안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즉, 2018년부터 디벨롭한 것. 소니에서 직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언급(This journey started with a random idea to mash demon hunters and K-Pop together and now, '''almost seven years later, we have a movie.''')이 확인되었다.] 진짜 [[베이퍼웨어]] 아니냐며 불안해하는 의견도 커졌다. 하지만 예고편 공개 후 높은 퀄리티로 기대치가 반등했고, 'K-POP 걸그룹이자 퇴마사인 주인공들이 저승사자 보이그룹으로부터 팬들을 지켜낸다'는 콘셉트도 재밌다는 평이다. 악령을 사냥하는 퇴마 아이돌은 [[굿]]을 행하는 [[무당]]을 현대 어반 판타지 히어로로 재해석[* 메인 보컬이자 악령과 무당의 혼혈인 루미는 반인반귀 [[비형랑]]이 모티브로 보인다.]한 것으로, [[남산서울타워]], [[한국 요리]], [[사인검]], [[일월오봉도]], [[까치호랑이|까치호랑이(작호도)]] 스타일의 [[호랑이]], [[기와집]] 등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국 문화가 자연스럽게 묘사되어 있다는 점도 호평받았다. 즉, 제목을 유치하게 지어서 진입장벽을 스스로 만든 것이 문제이지 퀄리티는 준수한 작품이다.[* 오히려 자칫 유치할 정도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제목이 기대치를 낮춰놔서 더욱 호평을 받은 것이라는 의견도 꽤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 업계에서 30년을 일한 미국의 [[https://www.linkedin.com/in/eric-calderon-2162b9/|에릭 칼데론]]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똑같이 2025년 6월 20일에 공개된 애니메이션 영화 작품인 본작과 디즈니의 [[엘리오]]를 비교하는 영상을 통해[[https://youtu.be/0tXr6UtyQzw&t=88s|#]] 단순히 주인공의 이름 외에 그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 엘리오와 달리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용사가 되지 못한 나는 마지못해 취직을 결심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암살자, 이세계 귀족으로 전생하다]] 등의) [[문장형 제목]]이 유행하는 사례를 언급하면서 본작의 직관적인 제목이 (예의 문장형 제목에 익숙한) 관객의 몰입도를 높였다고 분석했다.]
121 * 공개 이후에는 탄탄한 이야기 구조와 등장인물 서사, 그리고 장르적 문법을 충실히 따르는 정통 [[왕도물]]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결과적으로는 시청 국가와 관람층을 불문하고 고른 호평을 받고 있으며, 해외 영화 평론 사이트에서도 평점이 고공행진 중이다.
122 * 연출과 사실성 구현 외에도 주요 등장인물들의 서사를 관통하는 자기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비단 아이돌뿐만 아닌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123 * 과거 동양을 소재로 한 해외 자본의 작품에서 한중일 3국의 요소가 마구 혼재되어 이도저도 아닌 배경의 어색한 작품들이나 그냥 동양권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요소들을 적당하게 섞은 동양풍의 작품들이 많이 나왔고[* 대표적으로 [[쿵푸팬더 시리즈]]를 들 수 있을 것이다. 한 시대를 풍미한 중국/홍콩권 무협 영화들에 대한 헌정격 레퍼런스가 가득한 작품으로, 무술을 주요 소재로 삼는 해당 영화들에 등장하는 중국적인 관념 및 분위기를 잘 보여주어 큰 찬사를 받았지만, 그 배경으로 등장하는 마을, 지역, 주민 등은 작중에서 분명히 '중국'이라는 언급이 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그 양상이 지역 불명, 시대 불명, 중국적인 문화라기보다 서양에서 상상하는 동양인 사회나 마을의 모습에 가깝다는 식의 비판이 존재한다. (분위기상으로는 이미 청나라 성립과 함께 여러 변화가 정착한 근대 중국의 분위기이기는 하지만 상당히 애매모호하고 두루뭉술하게만 묘사가 된다) 특히, 무술과 관련된 요소를 제외하면 '일상'의 모습에서 드러나는 중국적 요소는 먹는 음식이나 입는 복장 정도를 제외하면 상당히 드문 편.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많아서, 동양권에서 만드는 서양 판타지는 온갖 시대의 오만가지 문화의 잡탕인 경우가 많다.], 실제와 다른 구현 오류가 넘쳐났던 것과 다르게 '''매우 실감 나는 묘사를 보여주고 있어 호평을 받았다.''' 분명 제작사는 미국 기업이지만 작중 배경과 콘셉트 자체는 완전히 한국적인 작품으로, 젓가락 밑에 휴지를 깐다거나 노랑 파랑 선이 그어진 문 닫힌 상점의 셔터 등 사소한 요소 하나하나에서 한국적인 스타일이 진하게 드러난다. 빠르게 지나가서 놓치기 쉽지만 헌터의 역사를 훑는 장면에서 황금 혼문의 범위가 주변으로 펼쳐지는 와중에 '''[[군사분계선|휴전선]] 구간은 제대로 펼쳐지지 않는''', 분단된 한반도의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한 묘사도 있다. 즉, 작중 헌터의 역사에 등장한 황금 혼문은 불완전한 황금 혼문일 가능성이 있다. 이 외에 초대부터 시작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작은 고을에서 시작된 혼문이 세대를 거쳐서 점차 세계로 영향력을 뻗어가는 K-POP의 위상으로 연출된 것에 호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바비, 셀린 같이 이름이 영어식인 경우가 많다.
124 * 한국문화뿐만 아니라, 특히 오히려 외국인들은 얼핏 고증오류 아닌가 의문을 표하는 경우가 있지만, 정작 한국인들이 고증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부분은 옷차림에서도 드러난다. 온대기후에 사계절이 뚜렷하다 못해, 겨울은 시베리아를 방불케 하는 엄동설한, 여름은 더 습하고 더운 동남아에서 온 사람들도 더 힘들어 할만큼 극단적이면서, 특히 이 사이 환절기에 해당하는 봄 가을에는 패딩 점퍼, 스웨터, 하와이안 반팔, 민소매 탱크탑, 얇은 후드와 두꺼운 후드티나 집업 등이 모두 같은 시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제대로 표현한 것 역시 고평가 요소이다. 당장, 베이비의 스웨터, 애비의 하와이안 반팔 티셔츠, 미스터리의 팔토시, 조이의 탱크탑, 루미의 터틀넥+두꺼운 후드 및 중간중간 드러나는 일반인들의 패딩점퍼 차림과 반팔 또는 여성 민소매 패션 등등이 그것.
125 심지어, Han의원 방문 때의 헌트릭스 멤버들의 복장을 보면 더 가관이다. 바로 직전에는 미라가 하의실종 롱스웨터, 조이가 팔꿈치 반팔 박스티, 루미는 터틀넥+후드티였으나 다음날 미라는 아예 민소매 조끼 한 겹에 박스핏 팬츠, 조이는 봄가을용 두꺼운 라운드티에 두꺼운 린넨 점퍼 두 겹에 반바지, 루미는 터틀넥+후드티+린넨 트랜치 코트로 세 겹에 조거팬츠다. 아예 봄 가을에는 기분, 컨디션, 날씨, 체질에 따라 완전히 서로 다른 옷을 입는 실제 상황을 그대로 재현한 것에 가깝다.
126 * 본래는 죽은 자들을 저승으로 인도한다는 [[저승사자]]가 인간들의 영혼을 노리는 악역으로 나오는 부분은 공개 전후를 통틀어 호불호가 갈렸는데, 단지 인간이었다가 악귀가된 자들이 저승사자의 '모습'만 띄고 있을 뿐 실제 설정상 저승사자는 아니라고 한다.
127 * 다만 좋은 평가만 받는 것은 아니다. 루미를 제외한 다른 구성원인 미라와 조이의 서사가 지나치게 추측에 의존하는 면이 있다는 점, 혼문 자체에 갑작스레 절망하게 된 루미가 돌연 개심하는 등 절정부의 플롯이 급작스럽게 전개되어 매끄럽지 못하다는 점에서는 혹평이 있다. 이 부분은 추후 후속작이 제작되거나 감독판이 발표된다면 수정될 수 있다.
128 * 한국 문화 재현이나 이야기만 좋은 것에 그치지 않고, 뮤지컬 영화로서 가장 중요한 음악적 완성도가 큰 호평을 받았다. 해외 한국계 예술가들이 한국계의 자존심을 걸고 다 같이 모여서 혼을 갈아 넣은 품질의 기획과 작사·작곡을 선보인 데다 헤메코와 안무와 카메라 워킹까지 더해지면서 플롯의 설득력을 크게 끌어올렸다. 모든 사운드트랙이 다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공개 일주일 만에 스포티파이 최상위권에 OST 전곡이 올랐다. 기존 뮤지컬 영화가 이야기 전개 도중에 음악이 삽입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아이돌을 다룬 애니메이션이기에 작중에서도 실제 뮤직비디오 형태 또는 안무를 동반한 무대로 노래를 선보였는데, 뮤직비디오 및 무대 모두 기억에 남을 만큼 멋지게 뽑았다는 반응이 많다. 특히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무대는 남자 아이돌에 관심 없던 남성 시청자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129 * 이 사운드트랙 호평에 힘입어, 2025년 7월 4일에는 미국 스포티파이 데일리 송 차트에서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Your Idol('''1위''')과, Soda Pop(10위)이, 그리고 [[HUNTR/X|헌트릭스]]의 Golden(2위)과, How It's Done(8위)이 나란히 차트 최상위권에 차트인했고, 이어서 7월 9일에는 헌트릭스의 Golden이 사자 보이즈의 Your Idol을 제치고 1위를 기록하며 현실에서 가상의 두 아이돌 그룹이 영화 내용처럼 엎치락뒤치락하며 차트 경쟁을 벌이는 기현상까지 낳았다. 이는 그룹 명의로 발표된 K-POP 장르 곡 중 역대 최고의 성적으로, 기존의 [[방탄소년단]]이나 [[BLACKPINK]] 등의 최정상 K-POP 아이돌도 달성하지 못했던 기록이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514140001677?did=NA|기사]]). 흔히 한국에서 주목하는 빌보드는 앨범 구입 등 팬덤파워가 작용할 수 있는 반면 스포티파이나 애플뮤직에서 선전하는 것은 대중적 관심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130 * 주역 3인방의 맥락 없는 [[얼굴개그]]가 은근한 병맛을 자랑하는데[*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애니메이팅은 얼굴 표현이 다양하지만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처럼 얼굴을 가린 캐릭터들이 다수거나, 시리어스 노선의 작품이 많았던 특성상 얼굴 포징이 다소 제한되어 있었는데, 본작에서는 얼굴 포징에 대한 실험적인 시도를 많이 한 느낌이다. 악역 캐릭터들 또한 개그신이 하나씩은 존재하며, 진우는 아예 주역 3인방처럼 얼굴개그 '''단독 샷''' 장면이 있다. 목욕탕에 악령들을 풀어놓고 혼자 실실대며 도망치다가 루미에게 추격당하는 장면.], '케이팝 아이돌'이라는 존재 역시 무대 위 모습 외 인간적인 면모가 넘치는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점을 보여준 부분도 호평을 받았다. "여성" 캐릭터들의 얼굴 표정이 코믹하게 표현됐다는 사실 자체가 상당한 특이점이자 장점이란 의견도 존재한다.
131 * 아이돌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보니 시청자들이 실제 아이돌 팬덤처럼 덕질하는 특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HUNTR/X|헌트릭스]]와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팬이 되어 서로를 견제하는 듯이 말다툼하는 등의 상황극에서 나아가, 소다팝이나 Your Idol 아이돌 멤버별 직캠을 따로 업로드한다거나 기존 케이팝 곡들에 많이 있던 '한국어 한글 표기 - 한국어 로마자 표기 - 영어 해석' 형식의 가사 영상이 업로드되거나, 챌린지 영상들이 만들어지는 등.
132 * '''아이돌'''을 다룬 '''애니메이션'''이다 보니 양쪽 덕후들이 모두 유입된 것 또한 특징이다.[* [[일본 아이돌]]을 다룬 일본 애니메이션은 많지만, 한국의 애니 시장 특성상 [[한국 아이돌]]을 다룬 아이돌물 애니메이션은 매우 드물다. [[샤이닝 스타(애니메이션)|샤이닝 스타]]가 케이팝을 다루긴 했지만 음악을 제외하면 일본식 [[아이돌물]]에 가까운 편.] 아이돌 덕후들 사이에서는 "왜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지 알겠다"라는 반응이, 애니메이션 덕후들 사이에서는 "왜 아이돌을 좋아하는지 알겠다"라는 반응이 나왔다. 그만큼 작품 내에서 아이돌과 그들의 음악, 무대를 현실에 가깝게 멋지게 표현해냈으며 애니메이션 자체의 완성도도 높다는 것을 방증한다.
133 * 게다가 대흥행에 힘입어 실제 케이팝 아이돌들도 본 작품을 감상하고 나서 Soda Pop 등의 안무 챌린지 영상을 직접 찍기도 했다.
134 * 도입부를 굉장히 잘 만들어서 시청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기대를 한껏 높였다는 평이 많다. 조선시대 [[무당]]에서 이어져 오는 서사를 통해서 왜 케이팝 가수가 퇴마를 하는지 명료하게 설명해주었고, 비행기에서의 전투와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How It's Done|How It's Done]] 공연을 통해서 작품의 뛰어난 노래를 소개해주는 동시에 헌트릭스의 전투력을 보여줘서 왜 악령 측이 아이돌 작전으로 나서는지에 대한 개연성도 깔끔하게 설명해주었다.[* 물론 진우와 다른 사자보이즈의 외모를 보여주면서 아이돌 데뷔의 성공률이 100%일 것이라는 것도 한방에 해결한다.]
135 * 무엇보다 넷플릭스 1위를 석권하고 사운드트랙이 빌보드 1위까지 가는 엄청난 흥행을 하면서 생긴 현상은 한국 이미지 자체의 흥행과 문화, 관심도를 높히는데 큰 역할을 한 작품으로 등극했다는 점이었다. 최대 1조원의 IP가치와 영화 자체의 수익은 미국의 [[넷플릭스]]와 일본의 소니 측에서 번 것을 감안해도 한류에 대한 전세계적 열풍은 방탄소년단에서 끝일줄 알았으나 또 한번 정점을 찍었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수십 조원을 투자해도 달성하기 어려운 국위선양을 톡톡히 했다. 개봉 2달이 지난 시점에서 구글 검색어 트렌드부터가 8월 말 한국 전반에 관한 검색량이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당시 수준을 넘었을 정도였으며 관광업계, 식품, 전자, 뷰티업계도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관련한 마케팅을 이용하면서 크게 활성화되었다. 각종 한국적 요소들과 캐릭터들로 문화 자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립중앙박물관]]은 연일 최다 관람객을 돌파했고 [[이재명|대통령]]도 국제 외교무대에서 마음 편하게 이야기를 꺼낸뒤 감독을 만나 지원을 약속했을 정도. 여러모로 단순 흥행작을 넘어 [[오징어 게임]]처럼 한류열풍을 이끈 대표적인 작품으로 자리매김 하고있다.
136
137== 흥행 ==
138=== 영화 ===
139[include(틀:역대 넷플릭스 시청수 순위)]
140
141||<-5><tablealign=center><tablewidth=85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0> {{{#e50914 '''넷플릭스 글로벌 1위 영화''' }}} ||
142||<width=30%> 2025년 25주 차 ||<|2><width=5%> → ||<width=30%> '''2025년 26주 차''' ||<|2><width=5%> → ||<width=30%> 2025년 27주 차 ||
143|| 벼랑 끝에 서서 ||<bgcolor=#e50914> {{{#fff '''케이팝 데몬 헌터스'''}}} || [[올드 가드 2]] ||
144||<width=30%> 2025년 27주 차 ||<|2><width=5%> → ||<width=30%> '''2025년 28주 차''' ||<|2><width=5%> → ||<width=30%> 2025년 29주 차 ||
145|| [[올드 가드 2]] ||<bgcolor=#e50914> {{{#fff '''케이팝 데몬 헌터스'''}}} || 케이팝 데몬 헌터스 ||
146||<width=30%> 2025년 28주 차 ||<|2><width=5%> → ||<width=30%> '''2025년 29주 차''' ||<|2><width=5%> → ||<width=30%> 2025년 30주 차 ||
147|| 케이팝 데몬 헌터스 ||<bgcolor=#e50914> {{{#fff '''케이팝 데몬 헌터스'''}}} || 해피 길모어 2 ||
148||<width=30%> 2025년 32주 차 ||<|2><width=5%> → ||<width=30%> '''2025년 33주 차''' ||<|2><width=5%> → ||<width=30%> 2025년 34주 차 ||
149|| [[옥스퍼드에서의 날들]] ||<bgcolor=#e50914> {{{#fff '''케이팝 데몬 헌터스'''}}} || ||
150||<-5> [[https://www.netflix.com/tudum/top10/|{{{#000,#fff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151
152||<-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80,#00008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0080,#000080><color=#afeeee,#afeeee> '''넷플릭스 공식 순위''' ||
153||<rowbgcolor=#000080,#000080><rowcolor=#afeeee,#afeeee> '''날짜''' || '''전체 순위''' || '''영어 순위''' || '''시청 시간''' || '''시청 횟수''' ||
154|| 2025-06-16(월) ~ 2025-06-22(일) || 2위 || 2위 || 15,400,000시간 || 9,200,000회 ||
155|| 2025-06-23(월) ~ 2025-06-29(일) || '''1위''' || '''1위''' || 40,300,000시간 || 24,200,000회 ||
156|| 2025-06-30(월) ~ 2025-07-06(일) || 2위 || 2위 || 37,800,000시간 || 22,700,000회 ||
157|| 2025-07-07(월) ~ 2025-07-13(일) || '''1위''' || '''1위''' || 40,400,000시간 || 24,200,000회 ||
158|| 2025-07-14(월) ~ 2025-07-20(일) || '''1위''' || '''1위''' || 43,000,000시간 || 25,800,000회 ||
159|| 2025-07-21(월) ~ 2025-07-27(일) || 2위 || 2위 || 43,900,000시간 || 26,300,000회 ||
160|| 2025-07-28(월) ~ 2025-08-03(일) || 2위 || 2위 || 43,800,000시간 || 26,300,000회 ||
161|| 2025-08-04(월) ~ 2025-08-10(일) || 2위 || 2위 || 43,100,000시간 || 25,900,000회 ||
162|| 2025-08-11(월) ~ 2025-08-17(일) || '''1위''' || '''1위''' || 43,300,000시간 || 26,000,000회 ||
163||<bgcolor=#000080,#000080><color=#afeeee,#afeeee> '''누적 시청 시간''' ||<-4> '''350,900,000시간''' ||
164||<bgcolor=#000080,#000080><color=#afeeee,#afeeee> '''누적 시청수''' ||<-4> '''210,500,000회''' ||
165||<-5><bgcolor=#000080,#000080> [[https://www.netflix.com/tudum/top10|{{{#afeeee,#afeeee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166
167||<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0> '''{{{#fff,#fff 넷플릭스 주요 국가 일간 최고 순위}}}''' ||
16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169{{{#!folding [ 펼치기 · 접기 ]
170{{{#!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71||<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0><rowcolor=#fff,#fff> '''국가''' || '''최고 순위''' || '''달성 날짜''' ||
172||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1위''' || [[2025년]] [[6월 21일]] ||
173||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 || '''1위''' || [[2025년]] [[6월 26일]] ||
174||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1위''' || [[2025년]] [[7월 11일]] ||
175||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 '''1위''' || [[2025년]] [[6월 21일]] ||
176||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 || '''1위''' || [[2025년]] [[6월 21일]] ||
177||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0]] [[멕시코]] || '''1위''' || [[2025년]] [[6월 27일]] ||
17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2위 || [[2025년]] [[6월 28일]] ||
179||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1위''' || [[2025년]] [[6월 24일]] ||
18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 || '''1위''' || [[2025년]] [[6월 23일]] ||
181||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스페인]] || '''1위''' || [[2025년]] [[7월 24일]] ||
18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1위''' || [[2025년]] [[6월 24일]] ||
18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아르헨티나]] || '''1위''' || [[2025년]] [[8월 14일]] ||
184}}}}}}}}} ||
185
186||<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c111b><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c111b> '''[[플릭스패트롤|{{{#fff,#fff 플릭스{{{#60a5fa 패트롤}}}}}}]] {{{#fff,#fff 월드 순위}}}''' ||
187||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188{{{#!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9{{{#!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c111b><rowcolor=#fff,#fff> '''날짜''' || '''순위''' || '''점수''' || '''1위 국가수''' ||
191|| 2025-06-21(토) - 1일 차 || '''1위''' || 715점 || 17개국 ||
192|| 2025-06-22(일) - 2일 차 || '''1위''' || 771점 || 26개국 ||
193|| 2025-06-23(월) - 3일 차 || '''1위''' || 781점 || 31개국 ||
194|| 2025-06-24(화) - 4일 차 || '''1위''' || 845점 || 41개국 ||
195|| 2025-06-25(수) - 5일 차 || '''1위''' || 807점 || 22개국 ||
196|| 2025-06-26(목) - 6일 차 || '''1위''' || 817점 || 23개국 ||
197|| 2025-06-27(금) - 7일 차 || '''1위''' || 837점 || 26개국 ||
198|| 2025-06-28(토) - 8일 차 || '''1위''' || 847점 || 32개국 ||
199|| 2025-06-29(일) - 9일 차 || '''1위''' || 841점 || 33개국 ||
200|| 2025-06-30(월) - 10일 차 || '''1위''' || 800점 || 23개국 ||
201|| 2025-07-01(화) - 11일 차 || '''1위''' || 822점 || 32개국 ||
202|| 2025-07-02(수) - 12일 차 || '''1위''' || 784점 || 26개국 ||
203|| 2025-07-03(목) - 13일 차 || 2위 || 721점 || 2개국 ||
204|| 2025-07-04(금) - 14일 차 || 2위 || 716점 || 0개국 ||
205|| 2025-07-05(토) - 15일 차 || 2위 || 725점 || 4개국 ||
206|| 2025-07-06(일) - 16일 차 || 2위 || 712점 || 4개국 ||
207|| 2025-07-07(월) - 17일 차 || 2위 || 670점 || 4개국 ||
208|| 2025-07-08(화) - 18일 차 || 2위 || 774점 || 19개국 ||
209|| 2025-07-09(수) - 19일 차 || 2위 || 777점 || 21개국 ||
210|| 2025-07-10(목) - 20일 차 || 2위 || 790점 || 29개국 ||
211|| 2025-07-11(금) - 21일 차 || 2위 || 751점 || 23개국 ||
212|| 2025-07-12(토) - 22일 차 || 2위 || 689점 || 19개국 ||
213|| 2025-07-13(일) - 23일 차 || 3위 || 632점 || 15개국 ||
214|| 2025-07-14(월) - 24일 차 || 4위 || 605점 || 12개국 ||
215|| 2025-07-15(화) - 25일 차 || 2위 || 710점 || 18개국 ||
216|| 2025-07-16(수) - 26일 차 || 2위 || 712점 || 15개국 ||
217|| 2025-07-17(목) - 27일 차 || 2위 || 742점 || 16개국 ||
218|| 2025-07-18(금) - 28일 차 || 2위 || 796점 || 28개국 ||
219|| 2025-07-19(토) - 29일 차 || '''1위''' || 811점 || 41개국 ||
220|| 2025-07-20(일) - 30일 차 || '''1위''' || 785점 || 30개국 ||
221|| 2025-07-21(월) - 31일 차 || '''1위''' || 745점 || 22개국 ||
222|| 2025-07-22(화) - 32일 차 || '''1위''' || 814점 || 32개국 ||
223|| 2025-07-23(수) - 33일 차 || '''1위''' || 826점 || 34개국 ||
224|| 2025-07-24(목) - 34일 차 || '''1위''' || 856점 || 43개국 ||
225|| 2025-07-25(금) - 35일 차 || '''1위''' || 843점 || 46개국 ||
226|| 2025-07-26(토) - 36일 차 || 2위 || 769점 || 8개국 ||
227|| 2025-07-27(일) - 37일 차 || 2위 || 716점 || 9개국 ||
228|| 2025-07-28(월) - 38일 차 || 2위 || 703점 || 9개국 ||
229|| 2025-07-29(화) - 39일 차 || 2위 || 732점 || 7개국 ||
230|| 2025-07-30(수) - 40일 차 || 2위 || 745점 || 10개국 ||
231|| 2025-07-31(목) - 41일 차 || 2위 || 769점 || 14개국 ||
232|| 2025-08-01(금) - 42일 차 || 2위 || 798점 || 20개국 ||
233|| 2025-08-02(토) - 43일 차 || 2위 || 711점 || 6개국 ||
234|| 2025-08-03(일) - 44일 차 || 2위 || 698점 || 3개국 ||
235|| 2025-08-04(월) - 45일 차 || 2위 || 680점 || 3개국 ||
236|| 2025-08-05(화) - 46일 차 || 2위 || 745점 || 4개국 ||
237|| 2025-08-06(수) - 47일 차 || 2위 || 762점 || 4개국 ||
238|| 2025-08-07(목) - 48일 차 || 2위 || 788점 || 15개국 ||
239|| 2025-08-08(금) - 49일 차 || 2위 || 812점 || 18개국 ||
240|| 2025-08-09(토) - 50일 차 || 2위 || 824점 || 25개국 ||
241|| 2025-08-10(일) - 51일 차 || 2위 || 826점 || 27개국 ||
242|| 2025-08-11(월) - 52일 차 || 2위 || 784점 || 27개국 ||
243|| 2025-08-12(화) - 53일 차 || '''1위''' || 832점 || 38개국 ||
244|| 2025-08-13(수) - 54일 차 || '''1위''' || 841점 || 35개국 ||
245|| 2025-08-14(목) - 55일 차 || '''1위''' || 865점 || 54개국 ||
246|| 2025-08-15(금) - 56일 차 || '''1위''' || 881점 || 63개국 ||
247|| 2025-08-16(토) - 57일 차 || '''1위''' || 826점 || 34개국 ||
248|| 2025-08-17(일) - 58일 차 || 2위 || 784점 || 23개국 ||
249|| 2025-08-18(월) - 59일 차 || 2위 || 758점 || 17개국 ||
250|| 2025-08-19(화) - 60일 차 || 2위 || 819점 || 27개국 ||
251||<-4> 출처: [[https://flixpatrol.com/|FlixPatrol]] ||}}}}}}}}} ||
252
253 * 공개 1일 차, 한국 넷플릭스에서는 '오늘 대한민국의 TOP 10 영화'에 4위로 들었다. [[K-POP]]의 본고장인 한국보다 미국, 독일, 프랑스 등 해외에서 더 인기를 끌어 17개국에서 1위를 달성해 [[플릭스패트롤]] 집계 기준으로 영화 부분 전 세계 1위를 기록했다.
254 * 공개 2일 차, 입소문을 타며 한국 넷플릭스에서 2위,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중 26개국에서 일간 순위 1위를 달성했다. [[https://youtu.be/rn_I1RfHxX8|#]]
255 * 공개 3일 차, 상승세를 이어가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중 31개국에서 일간 순위 1위를 달성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운드트랙이 미국 아이튠즈 앨범 차트100에서 1위를 차지했다.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241/0003446978|#]]
256 * 공개 4일 차, 가파른 상승세를 유지하며 한국에서 마침내 일간 순위 1위,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중 41개국에서 일간 순위 1위를 달성했다. [[https://www.news1.kr/entertain/movie/5825042|#]]
257 * 케이팝 데몬 헌터스 공개 일주일 후인 6월 27일에 《[[오징어 게임(시즌 3)|오징어 게임 3]]》이 공개된 후, 2025년 6월 23일 - 6월 29일 기준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넷플릭스 영화 영어 부문 글로벌 1위에 [[https://www.netflix.com/tudum/top10?week=2025-06-29|#]], 《오징어 게임 3》는 넷플릭스 TV 프로그램 비영어 부문 글로벌 1위에 [[https://www.netflix.com/tudum/top10/tv-non-english?week=2025-06-29|#]] 등극했다. 이로써 배우 [[이병헌]]은 넷플릭스 TV/영화 출연진으로서 동시에 1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https://www.xportsnews.com/article/2020874|#]]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0704172528924|#]]
258 * 2025년 7월 16일, What's on Netflix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된 애니메이션 영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또한, 4주 만에 시청뷰 8,030만 회를 기록하며 다음 주에는 《[[레오(미국 애니메이션)|레오]]》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https://x.com/whatonnetflix/status/1945214224994533867?t=cXS214hwMze5-ulz5D1QaQ&s=19|#]]
259 * 공개 4주 차[* 2025년 7월7일~13일 기록 (17~23일차)]에는 오히려 2위를 기록했던 3주 차보다 시청 시간 및 시청 횟수가 늘어 '''역주행 1위'''를 다시 찍어버렸다. 수치로만 보면 일반적으로 가장 고점을 찍어야할 1~2주 차 기록보다도 높다. 안그래도 낙폭 자체가 상당히 낮은 편이었는데 되려 등락폭 수치가 마이너스가 아닌 플러스를 찍어버린 것.[* 만약 극장에서 개봉했다면 [[천만 관객 돌파 영화]],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가 되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260 * 2025년 7월 18일, [[https://s22.q4cdn.com/959853165/files/doc_financials/2025/q2/FINAL-Q2-25-Shareholder-Letter.pdf|넷플릭스 2025년 2분기 실적 보고서]]가 발표됐다. 실적 발표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5.9% 증가해 110억 7,900만 달러(약 15조 4,400억 원)를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37억 7,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실적에 기여한 작품들을 보면 다른 작품들과 달리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따로 분류해서 소개될 정도로 실적 관여에 큰 영향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넷플릭스가 제작한 가장 성공적인 애니메이션 영화 중 하나'''로 소개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17883|#]]
261 * 공개 29일 차, [[플릭스패트롤]] 811점을 기록하며 다시 1위를 탈환했고 미국, 영국을 포함해 '''41개국에서 1위'''를 했다. 이는 공개 4일 차에 세웠던 최고 기록인 41개국 1위와 동일한 기록으로[* 점수 자체는 25일 차보다 4일 차 때가 좀 더 높다.] 최고 기록을 세웠던 날로부터 25일만에 다시 동일한 기록을 재현하게 되었다.
262 * 공개 5주 차[* 2025년 7월 14일~20일 기록 (24~30일차)]에는 이미 역주행 1위와 더불어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던 4주 차의 성적을 뛰어넘은 시청수 25,800,000회를 기록하며 '''누적 조회수 1억회''' 및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된 애니메이션 영화''' 기록을 달성했다. [[https://x.com/whatonnetflix/status/1950276070306955325|#]] 넷플릭스는 공식 [[X(SNS)|X]]계정을 통해 공개 5주 차에 새로운 시청률 최고치를 달성한 넷플릭스 작품은 본 작품이 최초라 밝혔다.[[https://x.com/netflix/status/1947733384752447875|#]]
263 * 공개 34일 차[* 2025년 7월 24일 기록], 기존 41개국 1위 기록을 갈아 치우며 '''43개국 1위 달성 기록'''과 함께 856점을 받으며[* 이전 본 작품의 최고 점수는 8일 차 847점이었다.] 자체 신기록을 경신했다.
264 * 공개 35일 차[* 2025년 7월 25일 기록], 또 다시 '''46개국 1위 달성 기록'''을 세우며 하루 만에 역주행 1위 기록을 연속으로 경신했다.
265 * 공개 36일 차[* 2025년 7월 26일 기록], [[애덤 샌들러]] 주역 영화 신작인 《해피 길모어 2》의 공개 여파로 2위로 물러났으나, 공개 한 달이 넘은 작품으로선 이례적인 높은 점수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266 * 공개 6주 차[* 2025년 7월 21일~27일 기록 (31~37일차)]에는 5주 차의 기록을 '''또''' 경신한 시청수 26,300,000회를 기록했다.[* 시청 시간 역시 4,390만 시간으로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로써 누적 조회수 132,400,000회를 달성하며 '''공식적으로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된 애니메이션 영화'''로 발표했다. [[https://x.com/netflix/status/1950270100080120203|#]] 또한 역대 넷플릭스 영화 조회수 TOP 10 진입은 기정사실이 되었다.[* 2025년 7월 넷째주 기준 TOP 10의 10위는 《[[오늘부터 히어로]]》의 1억 3730만 회로 500만 회 정도의 차이밖에 안 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6주 차가 되도록 하락폭이 거의 보이지가 않는 중이라, 현재 《[[레드 노티스]]》가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 2억 시청수에 도달할 수 있을지도 주목되고 있다.]
267 * 공개 7주차[* 2025년 7월 28일~8월 3일 기록 (38~44일차)]엔 공개 6주차 때 세웠던 자체 신기록과 동일한 기록을 세우며 낙폭 0%를 달성했고, 순위 역시 6주차에 이어 2주 연속 2위를 기록했다. 동시에 '''넷플릭스 역대 가장 많이 시청된 영화 4위'''에 올랐다. 현재 추이를 고려했을 때 빠르면 바로 다음 주차에 역대 2위 등극은 사실상 확정인 수순이며 230,900,000회[* 공개 후 91일간 기록 기준]를 기록한 《[[레드 노티스]]》의 기록을 깨고 1위에 등극할지 말지가 관건인 상황이다.
268 * 공개 8주차[* 2025년 8월 4일~8월 10일 기록 (45~51일차)]에는 전 주와 거의 비슷한 조회수를 기록하며 단숨에 '''넷플릭스 역대 가장 많이 시청된 영화 2위'''에 등극하였다. 역대 1위인 《[[레드 노티스]]》의 기록까지 단 4,630만 조회수만을 남기고 있는 상황이며, 매주 2,500~2,600만 조회수가 꾸준히 기록되고 있는 현재 추이가 그대로 이어질 경우[* 현재까지 3일간의 기록만이 포함된 1주차를 제외하곤 2,200만 조회수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다.] 빠르면 10주차에 역대 1위 등극이 매우 유력한 상황이다. 특히나 공개 후 91일간 기록[* 13~14주차까지 누적 기록]이 기준이기 때문에 만약 역대 1위에 등극할 경우 최종 성적은 2위와의 매우 큰 격차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되며 《[[오징어 게임(시즌 1)]]》과 나란히 역대 넷플릭스 영화 부문/TV 부문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269 * 공개 53일 차[* 2025년 8월 12일 기록]엔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의 [[빌보드 핫 100]] 1위 소식이 전해진 뒤 38개국 1위를 차지하며 다시 한 번 일간 순위 '''역주행 1위를 달성'''하였다.
270 * 공개 55일 차[* 2025년 8월 14일 기록]엔 '''54개국 1위를 달성'''하며 플릭스 패트롤 점수 865점과 함께 자체 최고 기록을 또 다시 한 번 경신하였다. 이전 자체 최고 기록은 20일 전 35일차 46개국 1위[* 플릭스 패트롤 점수 기준으로는 34일차 856점]였다.
271 * 공개 56일 차[* 2025년 8월 15일 기록]엔 자체 최고 기록을 세운지 하루만에 '''무려 63개국 1위를 달성'''해버리며 자체 신기록을 '''하루만에 또 경신'''했다. 플릭스 패트롤 점수 역시 881점을 달성하며 자체 최고 기록을 '''또''' 경신하였다.
272 * 공개 9주차[* 2025년 8월 11일~8월 17일 기록 (52~58일차)]에는 본 작품 역사상 2번째로 높은 2,600만 조회수[* 가장 높은 조회수는 6주차 2,630만 조회수이다.]를 기록하며 '''주간 순위 역주행 1위'''를 달성함과 동시에 '''드디어 2억 조회수를 돌파'''하였다.[* 2억 1,050만회] 이로써 넷플릭스 영화 역대 1위인 [[레드 노티스]]의 유일했던 2억 조회수 영화 기록을 깨뜨림과 동시에 [[https://x.com/whatonnetflix/status/1957880002994925810|1위 달성까지 단 2,040만 조회수]]만을 남긴 상황이 되었다. 9주차까지 약 1~2% 내외의 등락폭만을 보였던 추이가 10주차까지 그대로 이어질 경우 빠르면 바로 다음 주차 넷플릭스 역대 1위 영화 등극은 사실상 확정인 수순에 접어들었으며 1위 등극을 넘어 누적 3억 조회수를 돌파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되었다. 역대 시청수 순위가 공개 후 91일간 기록[* 약 13~14주차 누적 기록]임을 감안했을 때 33일간 추가로 8,950만 조회수 이상을 확보하면 3억 돌파에 성공하게 된다.
273
274=== 사운드트랙 ===
275[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 앵커=성적)]
276 * 영화의 흥행에 힘입어 사운드트랙 역시 흥행하고 있다. [[https://www.news1.kr/entertain/music/5823524|#]] [[빌보드 차트]] 중 메인 차트인 [[빌보드 핫 100|Hot 100]]에 6주 차인 2025년 8월 둘째 주 기준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 '''2위''', [[Your Idol]] 9위,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How It's Done|How It's Done]] 19위, [[Soda Pop]] 16위,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Free|Free]] 28위, [[What It Sounds Like]] 29위, [[Takedown(케이팝 데몬 헌터스)|Takedown]] 33위, [[TAKEDOWN(TWICE)|TAKEDOWN (TWICE)]] 67위, [[Strategy(노래)#s-3|Strategy]] 74위로 무려 9곡이 차트인에 성공했다.[* 앨범의 오리지널곡 8곡 모두 빌보드 Hot 100에 차트인한 놀라운 성과로, 앨범 중 대표곡 한두 곡만 차트인 하는 것도 매우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인기이다.]
277 * 차트 진입 3주 차에 [[빌보드 200]]에서 앨범이 '''2위''', [[빌보드 Global 200]]에서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이 '''1위''', [[빌보드 Global Excluding United States]] 차트[* 미국 제외 차트] 역시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이 '''1위'''를 석권했다. [[https://www.billboard.com/music/chart-beat/huntr-x-golden-global-charts-number-one-july-19-1236020891/|#]] 가상 아티스트가 빌보드 글로벌 차트에서 정상에 오른 것은 사상 처음이다.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51964|#]]
278 * 넷플릭스는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을 제98회 [[아카데미 주제가상|아카데미 시상식 주제가상]] 후보에 출품하기로 공식 발표했다. [[https://www.billboard.com/music/awards/kpop-demon-hunters-song-2026-oscars-consideration-1236015207/|#]][* 오스카 최종 후보 명단은 2026년 1월 22일 목요일에 발표되며, 제98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2026년 3월 2일 일요일에 열린다. 한국계 작곡가가 오스카 주제가상 후보에 오르는 것은 사상 두 번째이며, 수상하면 최초가 된다.], [[https://www.billboard.com/music/awards/kpop-demon-hunters-eligible-oscars-1236017619/|#]][* 오스카 후보에 오르기 위해서는 극장 상영 등 여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며, 《케이팝 데몬헌터스》는 2025년 6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 동안 세 개의 극장에서 상영되어 조건을 충족시켰다. 이후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이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게 되자 8월 23~24일에 미국, 캐나다, 영국에서 [[싱어롱]] 버전으로 극장에서 상영할 예정이다. [[https://singkpopdemonhunters.com/|#]]]
279 * 차트 진입 4주 차인 2025년 7월 26일자에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은 [[빌보드 핫 100]] '''4위'''로 상승하였다. [[https://www.billboard.com/music/pop/kpop-demon-hunters-executive-music-producer-golden-1236025968/?taid=687e946aae866500018845ff&utm_campaign=trueanthem&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
280 * 한국 시간 8월 2일 기준,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이 1위를 차지했다. [[https://youtu.be/lPBx-VyW1C0|#]] 이는 케이팝으로서는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 13년 만의 기록이다. 8월 15일, Golden이 격주만에 두번째로 1위를 차지했다. 6위와 7위에 각각 소다팝과 유어 아이돌이 올라 10위안에 세곡이 차트인 했다.
281 *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이 2주 연속 2위를 차지했다. [[https://youtu.be/vxtzlPDf6ug|#]]
282 * 결국 2025년 8월 11일, 차트 진입 7주 차에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이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이 선발표[* 8월 16일 순위 선공개]되면서 케이팝 걸그룹 노래로서는 최초의 Hot 100 '''1위 곡'''이 되었다. [[https://www.billboard.com/lists/huntrx-golden-kpop-demon-hunters-number-1-hot-100/|“Golden” goes up, up, up]] 케이팝뿐 아니라 걸그룹이 빌보드 1위를 한 것 자체가 [[비욘세]]가 있던 걸그룹 [[Destiny's Child|데스티니스 차일드]] 이후로 24년만에 처음이라고 한다. 또한 같은 날 [[Your Idol]] 역시 순위가 상승하여 [[빌보드 핫 100|Hot 100]] 8위를 달성했다. 골든의 1위 소식의 영향으로 작품 역시 넷플릭스 일간 순위 역주행 1위를 달성하였고 이 기세가 계속 이어져 자체 최고 기록을 또 다시 경신하였다.[* 공개 55일차 54개국 1위 달성]
283
284== 내용 ==
285=== 설정 ===
286 * '''혼문(魂門)'''[* 영어로는 Soul Gate 가 아닌 고유명사를 그대로 음차한 Honmoon 이라고 쓴다. 단 '황금' 혼문은 'Golden' Honmoon 으로 쓴다.]
287 신묘한 힘을 가진 헌터의 노래로 사람들을 감동시켜 [[영혼]]을 공명시키고, 그 영혼을 엮어 만드는 그물 형태의 역장. 인세(人世)와 지옥 사이에 펼쳐지며 악령이 올라오는 것을 막는다. 많은 사람들의 영혼이 필요하기 때문에 헌터 단독이나 사람들의 영혼만 가지고는 만들 수 없다. 그러나 인간의 영혼이라는 것이 [[죽음|영원할 수는 없다 보니]] 유효기간이 존재해 주기적으로 보강해야 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아이돌 어워즈가 1년간 혼문이 버틸 힘을 만드는 시기라고 언급된다.] 기본적으로는 영혼의 색인 푸른 색을 띄고 있으나 황금색 혼문이 완성되면 지옥과 귀마를 영구적으로 봉인할 수 있을 것이라 헌터들 사이에서 전승되고 있다. 작품 마지막엔 황금색 대신 무지개색 혼문이 등장하는데, 이는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개성과 영혼, 진솔함과 상호인정, 연대의식 등이 반영되는 작중 설정으로 볼 수 있다. 귀마 본체(와 그 영향력) 및 잡졸 레벨의 악령은 일반적인 혼문으로 봉쇄할 수 있는 듯하며 작중에서 균열이 이곳 저곳에서 대대적으로 등장하기 전에는 비교적 레벨이 높은 소수의 악령만 어찌어찌 혼문을 뚫었고 이를 헌터들이 틈틈히 제거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하이재킹을 시도했던 악령들의 경우 정체가 밝혀지기 직전까지 헌터들이 몰랐다던가, 엄연히 고위 악령인 사자 보이즈가 등장할 때도 헌터들은 거리 공연 당시에나 그들의 침투 및 정체를 알아챘다. 반면 목욕탕 전투에서 악령의 대대적인 침투에 조이가 이런 건 처음 본다고 할 정도로, 혼문이 멀쩡했다면 잡졸이 이 정도 숫자가 나온다는 건 평소라면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
288 * '''헌터(Hunter)'''
289 [youtube(BlCH3v7hdn8)]
290 >'''홀로 어둠을 밝히랴[* 어떻게 혼자서 어둠을 밝힐 수 있겠느냐는 의미의 설의적 표현이다. 작중에서 멤버들 간의 유대관계를 끊임없이 강조하는 점, 그리고 역대 헌터들이 최소 3인조를 유지했다는 점을 본다면 음악과 목소리로 혼문을 유지하는 건 결코 혼자서 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 노래 부르리라, 굳건한 이 소리로 이 세상을 고치리라'''
291 > ----
292 > 인트로의 세계관 설명에서 등장하는 음악의 가사(해당 영상의 50초 지점)[* 즉 헌터에게 있어 악령을 퇴마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노래와 소리로 세상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는 걸 강조한다. 아쉽게도 공식 사운드트랙인 'Score Suite'에서는 보컬이 빠진 것만 있지만 엔딩 크레딧에서 보컬이 포함된 걸 들을 수 있다.]
293 최소 [[조선 시대]] 중후기부터 등장해 사람들의 영혼을 춤과 노래로 감동시키고 그것으로 혼문을 만들어 귀마의 위협으로부터 사람들을 지켜온 전사들이다. 지금껏 여러 헌터들이 대를 이어 왔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3인조 구성이며 구성원 전원이 여성이라는 점이다. 남성도 헌터가 될 수 있는지는 불명. 태초의 헌터는 [[무당]]으로, [[굿]]에 동원되는 춤과 노래로 악령을 물리친다는 설정이 시대를 내려와 아이돌로 이어졌다. 황당한 설정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으나, "무당 팔자가 연예인 팔자"라는 말은 예전부터 한국에서 많이 사용되던 표현이다.[* 실제로 사주팔자를 따져보면야 당연히 다르겠지만, 무당이 신을 모시고 방문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한다는 점과 연예인들의 노래와 춤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위로가 된다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리고, 무당의 굿판과 연예인들의 스테이지 등이 맞물려서 이러한 말이 만들어졌다.] 한국의 전통 무당은 고을의 사또나 부잣집 등이 비싼 비용을 대고 마을에 축제 분위기를 조성해서 굿을 치렀는데, 현대 아이돌도 지자체 등에서 출연료를 주고 공연을 여는 것과 비교하면 묘하게 비슷한 면모도 있다. 애초에 아이돌을 포함한 가수 전반이 90년대 전반만 해도 이른바 '[[딴따라]]'라고 멸시받던 걸 생각하면 큰 위화감이 없기도 하다. 한편 헌터가 [[사냥|사냥꾼]]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데 초창기인 조선 시대에도 이렇게 불렀을 것 같지는 않은지라 이때는 뭐라고 불렀는지[* 그냥 사냥꾼이라 불렀거나 한자식 표현인 엽사 정도로 호칭했으리라 추정해 볼 순 있다.], 어떤 계기로 지금의 이름이 붙은 건지는 알 수 없다.
294 * 한국의 [[퇴마]]와 관련된 묘사가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전통적으로도 중국의 [[도사]]나 일본의 [[음양사]]처럼 한국의 무당은 구군복과 환도를 패용하고 장군신을 모시는 이들이 존재했으며[* 이 때문에 오히려 구군복이 무교(巫敎) 문화로 오해받을 정도이다.] 작중에 등장하는 요괴들과 생김새와 행태가 유사한 도깨비·악귀·역신·화재신 등의 부정적인 존재들은 적극적으로 쫓아내거나 봉인해야 하는 존재였다. 그래서 화전치기나 귀신 착수, 도깨비 굿과 액막이 굿 같이 악령을 쫓아내거나 봉인하는 '항마'나 '봉마'에 가까운 의례들이 존재했고, 당장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역사서에서도 [[장희빈]]이 무당을 불러 [[방법#s-2|저주를 했다는 기록]]이 넘쳐난다. 해원과 같은 개념이 표현되지 않았으니 제대로 한국 문화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일각의 주장이 있었지만, 인류의 역사 상,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주술은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 자기 집단의 복을 빌거나 상대 집단을 저주하는 두 가지 방면으로 활용되었으며 한국 문화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이러한 인식은 외래 문화의 유입에 대한 경계와 [[내셔널리즘|민족주의]]의 득세로, (주로 [[미국]]과 [[일본]]으로 대표되는) 퇴폐적이고 사악한 외래 문화와 대결하는 순수하고 선한 한국 전통 문화라는 이미지를 부여하려는 시도가 전방위로 일어났던 80~ 90년대의 문화적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도깨비]]가 있는데, 전설이 실제로 구전되던 당시에는 엄연히 사람을 홀려 피해를 주는 요물로 인식되었음에도 현대 판타지 애호가에게는 일본 [[오니]]와의 [[한일전|맹목적인 대결 구도]]로 인해 인간을 도와주는 선한 정령으로만 묘사하려는 경향이 존재했다.] 현대적으로는 [[퇴마록]] 이후 이어진 퇴마형 [[어반 판타지]] 장르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295 * 이국적인 인명의 비중이 높다. 물론 작중 이름이 대사로 불리는 인물들은 과거 세대인 셀린을 포함 대부분 연예인이니 예명이라면[* 오히려 진우를 제외한 사자 보이즈 멤버들은 예명일 수밖에 없는 이름들이다. 영미권 사람이라고 사람 이름을 [[베이비(케이팝 데몬 헌터스)|베이비]], [[로맨스(케이팝 데몬 헌터스)|로맨스]], [[미스터리(케이팝 데몬 헌터스)|미스터리]] 같은 식으로 지을 리도 없고, 나중에 근육남이 될 걸 미리 알고 [[복근|abs]]에서 유래한 [[애비(케이팝 데몬 헌터스)|애비(Abby)]]라는 애칭을 붙일 리도 없다.] 외국어 계통의 예명을 쓰는 일은 한국 가수들 사이에 매우 흔한 일이므로 오히려 현실에 맞는 자연스러운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진우(케이팝 데몬 헌터스)|진우]]와 [[미라(동음이의어)#s-3.1|미라]]는 한국 이름이며, [[조이(케이팝 데몬 헌터스)|조이]]는 [[재미동포]] 출신이니 논외.] 다만 연예인이 아닌 바비와 이제는 은퇴한 셀린을 가족 사이의 일상에서도 그 이름으로 부르는 등 본명도 어느 정도 영미권의 편의로 이름이 지어진 면이 있다.
296 * 이름 말고도 호칭 또한 서구권 관객을 위해 다분히 서구적으로 각색해 놓은 요소들이 많다. 본작의 등장인물들은 유럽계 언어 사용자들이 그런 것처럼 이름으로만 상대를 호칭한다. 헌트릭스의 '[[걸그룹/포지션#s-6|막내]]'인 조이는 다른 두 멤버보다 한 살이 어리지만, 루미와 미라를 이름으로만 부른다. 당연히 작중에 [[님]]이나 [[후배]]와 같은 호칭이 나오는 점을 비롯한 제작진의 한국 이해도로 볼 때, 한국에서는 나이 차가 한 살이라도 나면 [[언니]]-[[동생]]이 된다는 것을 몰랐거나 호칭 부분에서 재현을 포기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다. 헌트릭스 멤버들은 현실의 한국이었으면 당연히 '[[실장|실장님]]'과 같은 직책으로 불렀어야 할 매니저 바비, 심지어 [[멘토]]인 셀린조차 이름으로 부르는데, 이는 등장인물 간의 상호 평등성을 강조하거나, 관객들로 하여금 불필요한 부분에 관심을 기울일 여지를 지우기 위한 각색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297 * 한국 문화에 대한 재현성에 대해 호평을 얻고 있고, 그것이 일정 부분 흥행의 기반이 되기도 했지만, 이 작품이 온전히 [[한국적]]이라고만 할 수는 있는 것은 아니다. 극적 전개를 위해 K-POP 아이돌판에 대한 묘사는 한국의 연예계 현실과 크게 다른 부분이 많다. 이 부분은 제작사가 있는 미국 할리우드 엔터테인먼트판의 팬덤 양상에 기초하고 있다.
298 * 데뷔 1년도 안 된 신인 보이그룹이 5년차 선배 인기 걸그룹에게 예의를 차리지 않고, 걸그룹과 보이그룹의 경쟁 구도 및 합동 팬사인회[* 심지어 서로간의 합의하에 진행된 것이 아니라 [[Saja Boys|사자 보이즈]]가 [[HUNTR/X|헌트릭스]]의 팬사인회를 방해하기 위해 난입한 것으로, 이 와중에 첫 순서로 들어오기 위해 팬들보다 일찍 꼭두새벽부터 팬사인회 현장 앞에서 침낭을 두르고 대기하고 있는 깨알 같은 모습이 지나간다.], 후반부 헌트릭스에게 문제가 생기자 기분전환을 위해 자신들의 라이브를 보러 오라며 [[티배깅]]하는 사자 보이즈[* 다만 이 시점에서는 사자 보이즈와 귀마가 사람들을 홀려버린 비정상적인 상황이라, 그럴 여지 자체가 없었다.] 등등 데뷔 연도와 나이 서열을 엄격히 따지는 한국 아이돌판에서 실제로 일어났다면 인성 논란부터 시작해 아이돌 팬덤 전체가 심각하게 불탈 만한 일들이 있기는 했다.[* 일각에서는 저런 일 중 단 하나라도 일어났다가는 엑스(전 트위터)에 실트로 #진우 제정신(...)이 뜰 거라고 말하기도.]
299 * 작중 보이그룹과 걸그룹을 커플로 엮는 팬들이 나오는데, 사실 이러한 아이돌 간 [[알페스|커플링 및 2차 창작]]은 해외에서는 흔한 풍경이다.[* 'relationship'에서 따온 말인 'ship'이라고도 한다. [[커플링(동인)]] 문서 참조.] 그러나 정작 한국에서는 사자 보이즈 급의 당대 탑티어 비주얼 보이그룹의 센터는 절대로 다른 걸그룹 멤버와 커플링이 불가능하며, 그런 시도를 한다면 팬덤에서 매장당하는 것은 물론 생리혈로 쓰인 협박장을 받거나 방화를 당할 수도 있다. 당장 베이비 복스만 해도 멤버 간미연이 HOT 멤버 문희준과 교제 루머만 터졌는데도 우리 오빠 꼬시려고 꼬리치는 년이라는 악담을 들으면서 온갖 주말 가요프로에 출연하는 내내 HOT 팬덤으로부터 집단 야유와 폭언을 듣는 등 엄청난 수모를 당했다. 이 때문에 진우-루미 커플링을 지지하는 팬의 팬아트가 '[[https://www.fmkorea.com/index.php?document_srl=8556760977|무언가 잘못되었다]]'라는 느낌이 들도록 그려졌다고 한다. 실제로 한 중국 K-POP 팬이 남돌과 여돌의 커플링 문제 등 돌판에선 하면 안 되는 일을 작품 내에서 묘사한다는 비판한 글을 SNS에 올리기도 했다. 즉, 외국인 K-POP 팬들도 해당 부분에 관해선 어색함을 느낄 묘사였다는 뜻.
300 * 극중 보이그룹이 걸그룹의 팬을 빼앗아가는 설정이 있지만, 현실에선 남녀 아이돌 팬층은 많이 겹치지도 않고 빼앗아가는 관계는 더더욱 아니기 때문에 스토리 전개를 위한 설정이라고 보면 된다. 사실 이는 한국 2세대 그룹 판에서 특유의 현상이었다. 1990년대에는 [[신승훈]]이나 [[김건모]]의 팬들이 [[서태지와 아이들]] 노래를 [[https://youtu.be/HFSXsu0Y8mE|따라 부르는 모습]]이 흔했고[* 사실 이는 해체 전 [[서태지와 아이들]]이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절대적인 인기와 명성을 가진 존재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링크된 영상의 공연의 경우 당시 잠실 주경기장 수용 인원을 아득히 뛰어넘는 10만 명의 관람객이 운집했는데 각각의 가수 팬들을 모두 합한 10만 명이 한꺼번에 떼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세대 아이돌판에서 [[H.O.T.]]와 [[젝스키스]], [[S.E.S.]]와 [[핑클]]의 경쟁구도가 생겨났다. 이후 2000년대로 넘어가며 [[드림콘서트 침묵 사건]]으로 대표되는, 보이그룹의 팬덤이 걸그룹과 그 팬덤을 견제하는 등의 팬덤간 대립각이 자리잡는다.[* 마침 본작의 감독과 각본을 맡은 매기 강 감독이 바로 이 세대를 경험했기도 하다.] 하지만 3~4세대 이후로는 보이그룹과 걸그룹을 불문하고 모든 팀의 팬들이 서로서로 우호적으로 대하는 분위기가 자리잡혔다. 여러 아이돌들이 동시 출연하는 콘서트의 경우 모두가 환호하면서 [[https://youtu.be/GGXnmlAhw3M|응원에 참여]]하기도 한다. 같은 성별의 아이돌 팬덤은 라이벌 의식이 있긴 하지만 다른 성의 아이돌 팬덤은 애초에 성향 자체가 다르기에 서로 별다른 관심이 없는 편이다. 사실 이런 팬덤간의 대립은 오히려 1970년대~1990년대 미국/유럽 음악계에서 더 흔히 보이는 편으로, 서양 쪽 대중에게는 익숙한 구도이다. 애초에 이는 '''악귀가 사람들의 마음을 홀리는 힘이 있다'''는 작중 설정상으로 충분히 이해 가능한 전개이다.
301 * 기본적으로 저연령대를 타깃으로 하는 작품이다 보니, K-POP 산업을 최대한 단순화하고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묘사하고 있다. 작중 [[HUNTR/X|헌트릭스]] 멤버들의 팬 사랑은 조금의 가식 없는 진심 그 자체이며, 반대로 가수의 연애 사실이 밝혀졌을 때 결별을 종용하는 극성 팬덤도, 소속사도 없다. 이러한 K-POP 아이돌의 그늘진 모습은 헌트릭스의 진짜 기획자라고 할 수 있는 셀린이 악귀 혈통임을 나타내는 문양을 드러내지 말 것을 루미에게 강요하는 것으로 은유되고 있을 뿐이다. 한편 앨범 녹음이나 [[뮤직비디오]] 촬영 같은 가수들이 수동적으로 보일 수 있는 모습은 철저히 배제되어 모든 주요 의사 결정을 가수들 스스로 기꺼이, 알아서 하는 것처럼 그려진다. 모든 K-POP 아이돌의 활동은 기획사의 철저한 기획으로부터 여러 가지 공정을 거친 것으로 본작에서처럼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그룹 리더]]의 즉흥적인 결정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이는 [[BIGBANG]], [[방탄소년단]], [[KISS OF LIFE]], [[i-dle]]처럼 곡을 만드는 데 멤버들의 작사 작곡 참여 지분이 높은 경우라고 해도 마찬가지다. [[싱어송라이터]]형 아이돌은커녕 [[JYP엔터테인먼트|기획사]]의 수장인 [[박진영]]조차 가수로서 활동할 때는 본인 곡을 언제 출시할지에 대해서 결정권을 가지지 못한다. 또 헌트릭스의 [[매니저#s-2]] 바비는 정작 가장 중요한 임무인 스케줄 관리나 관련자들과 연락, 접촉해서 의견이나 일정을 조율하는 등의 모습이 제대로 그려지지 않는데, 이는 '연예인한테 매니저라는 사람이 붙어다니는 것은 알지만 뭘 하는지는 잘 모르는' [[어린이]]들의 시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02 *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의 경우 유난히 루미의 파트 비중이 압도적인데[[https://www.dogdrip.net/644820024|#]], 본작이 공개된 2025년 기준으로 현실에서 이런 파트 분배가 나왔으면 팬덤 내에서 어마어마한 논란이 터졌을 것이다.[* 아이돌 팬들 사이에서 메인보컬 위주의 보컬 분배와 이른바 '피자판'식의 공평한 분배 가운데 어떤 것이 낫느냐 하는 것은 꾸준한 논쟁거리이나 악기 연주 롤이 따로 있어서 보컬이 한 명에게 집중되는 [[밴드]]가 아닌 이상 이렇게 80% 대의 파트 배분이 나오는 것은 정말 독보적이라 언급되는 [[서태지와 아이들]] 외에는 유례를 찾기 힘들다. 심지어 'Golden'이 고음역 폭격을 때리는 유형의 곡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메인보컬 혹사로 활동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부터 의문이 드는 곡 구성. 루미가 제대로 노래를 못하는 것이 그냥 목이 나가서가 아니냐는 농담까지 나올 정도.] 그 외에 [[HUNTR/X|헌트릭스]],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작중 곡들은 멤버별 파트 분배가 비교적 현실적이기 때문에, 이는 K-POP에 대한 몰이해라기보다는 스토리 전개를 위한 [[주인공 보정]]인 것으로 보인다. 이후 루미의 보컬을 맡은 [[EJAE]]가 인스타에 올린 골든의 풀버전으로 추정되는 가사의 사진에는 미라의 가사가 상당량 존재한 것을 보면, 루미 중심의 서사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조정이 된 듯하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ajaboys&no=4958|#]]
303 * 음악이 주가 된 애니메이션이지만 데몬 헌터답게 액션 씬에도 공을 들였다. 각종 무기를 사용하는 장면은 실제 무예가들의 모션을 따왔고 태권도 국가대표 출신의 [[태미]]가 격투 액션을 맡았다. 거기에 더해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제작진 답게 화려한 카메라 웍을 보여주며 액션씬 역시 훌륭한 볼거리로 자리 잡았다.
304
305=== 모티브 ===
306 * [[HUNTR/X|헌트릭스]]의 [[로고]]는 한국의 전통 장신구인 [[노리개]]의 전통 [[매듭]] 부분 형상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 된 것이다. 헌트릭스의 [[https://www.instagram.com/p/DLRLeg4RWgR/?utm_source=ig_web_copy_link&igsh=MzRlODBiNWFlZA==|공식 응원봉]]에도 이 로고가 쓰였다. 그리고 평상시 모습에서도 멤버들마다 각자 다른 디자인의 [[https://x.com/joune5064/status/1936913375994507367|노리개]]를 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작진에 따르면 헌트릭스 멤버들의 노리개는 귀엽고 현대적인 느낌을 첨가하여 디자인하였으며 반면에 헌트릭스의 멘토인 셀린의 노리개는 전통적인 스타일을 유지했다고 한다.]
307 * 시대 별로 퇴마사의 무기는 다 다른데, [[https://x.com/blauereiter/status/1936471337478053977|1세대 헌터들]]이 사용했던 [[https://x.com/joune5064/status/1936936947899150607|무기]][* 석장은 기존의 고리가 아닌 무당의 방울을 달아 변형했으며 무당들이 쌍검을 들고 [[검무]]를 춘 것에 기인한 쌍검술, 우리나라의 전통 활인 각궁을 각각 모티브로 했다.]는 각각 [[석장]], 쌍검[* 날 부분의 모양이 [[임진왜란]] 당시 일등공신이었던 파주 목사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802630000|김명윤 유품 쌍검]]과 동일한 디자인이다.], [[각궁]]이었다.
308 * ||<table width=450><nopad> [[파일:조이_단도.png|width=100%]] ||
309 작중 묘사되는 조이의 무기는 [[무당]]이 쓰는 무구인 [[신칼#s-2]]이다.[* 대(大)신칼의 형태. 조이의 경우 소환형 무기라는 점을 백분 활용하여, [[나이프 스로잉|투척]] 후 [[갬빗|다시 소환하는 식]]으로 [[비도]] 형식을 병행하여 전투에 사용한다. 디렉터는 한국적 이미지를 참고했다는 컨셉 아트를 밝히며, 제작진에게 '[[쿠나이]]나 [[수리검]]처럼 보이지 않도록 해 달라'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6927265755201739|참고 링크]] 서구권에선 동양 무술이나 무기에 대한 몰이해가 많고 동양무술+비도술=닌자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310 * ||<table width=450><nopad> [[파일:미라 월도 .jpg|width=100%]] ||
311 미라의 무기인 [[월도#s-3.1.1|곡도]]는 [[가야]]의 곡도를 모티브로 한 컨셉 아트가 공개되었다.
312 * 악령 세계에서 탄생한 보이그룹 [[Saja Boys|사자 보이즈]]는 [[1세대 아이돌|1세대 보이그룹]] [[H.O.T.]]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313 [youtube(77p6_u29MoI)]
314 매기 강 감독은 캐나다 매체 [[캐나다 방송 협회|CBC]]와의 인터뷰에 H.O.T.는 자신이 성장하며 존경했던 원조 아이돌 그룹이라며, H.O.T.가 밝고 경쾌한 싱글을 발표한 후 한두 달 동안 활동을 쉬었다가 다음 싱글에서는 어둡고 날카로운 분위기로 돌아온 경험이 '사자 보이즈'에 녹아 있다고 말하면서 "팬으로서 이러한 경험이 궁극적으로 기억에 남았고, 그것을 영화에 반영하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052/0002234629|#]]
315 *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모티브인 '창백한 얼굴에 검은 [[도포]][* 작중에선 [[소창의]]에 가깝게 묘사된다.]을 입고 [[갓]]을 쓴' [[저승사자]]는 1970년대 말 [[전설의 고향]] 시리즈에서 처음 묘사된 후 근현대에 정착한 이미지다. 그렇다고 해서 해당 묘사가 '가짜'라거나 틀린 것은 아닌데, 50년간 지속되어 온 이상 근현대에 변화한 형태도 그 자체로 학술적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시로, 한국의 전통 요괴는 아니지만 비교적 이른 시기, 현대에 창작된 요괴 [[장산범]]도 '구전과 소문이 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 덕분에 학술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부대찌개]] 또한 소시지와 햄이라는 6.25 전쟁 이후 미군부대를 통해 유입된 서양 식재료가 사용된 20세기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한식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실제 전승에 의하면 갓을 쓴 [[선비]]의 모습보다는 [[단령]]을 입은 고귀한 중앙 [[관료]]의 모습이나 근엄한 갑옷과 무기를 찬 채 말타고 다니는 장군의 모습이었다.[* 현대 이전의 저승사자의 모습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입었던 관복의 한 종류인 단령을 입은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는 저승사자가 단순히 영혼을 데려가는 존재가 아니라, 저승의 공무원이자 판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고귀한 존재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현대엔 들어서는 [[갑주]][* 갑옷과 투구를 함께 아울러 가리키는 말]가 ‘정복’이고, 검은 도포와 검은 정장이 각각 전근대와 현대의 ‘활동복’이라는 설정이 붙기도 한다.[* 웹툰 [[신과함께]] 및 이를 원작으로 한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실사영화 시리즈]]에서 이러한 설정으로 표현했다.]
316 사실 작중의 (전설의 고향식) '저승사자 복장'은 그냥 무대 의상이고, 사자 보이즈의 원래 모습은 평상복에 흑립을 쓰고 쾌자를 걸치고 있다.
317 * 전령으로 나오는 까치와 호랑이는 조선의 민화인 [[까치호랑이|까치호랑이(작호도)]]가 [[https://x.com/radsechrist/status/1936258617847717903|모티브]]이다. 하는 짓은 영락없는 집고양이이지만 특유의 호랑이 그림체를 잘 살렸다는 반응을 얻었다. 작중에서 귀마 관련 능력은 붉은빛인데 이 호랑이의 털 색이나 공간이동 능력을 쓸 때 나오는 빛은 혼문이나 헌터들이 능력을 사용할 때 나오는 푸른빛과 똑같다. 이 떡밥은 해결되지 않았다.[* 원본인 까치호랑이는 학계에서 벽에 걸어 잡귀를 쫓기 위해 만들어진 그림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호랑이의 눈이 사팔뜨기인 이유도 호랑이를 [[탐관오리]] 등 권력자에 비유하여 바보같이 그리려는 목적도 있지만, 어느 시점에서 보더라도 바라보는 사람을 똑같이 바라보도록 그려져 있기에 집 안에 들어오는 침입자나 잡귀 등을 놀래켜 쫓아내는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 그래서 초반부 진우가 호랑이를 끌고 올 때 악령들이 두려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318 * 악령들의 디자인은 괴수와 같은 얼굴을 입체적으로 조각한 도깨비 기와의 모습[* 축구대표팀의 공식 서포터즈 상징인 붉은악마와 비슷한 형상], [[탈춤]]에 쓰이는 노장탈이나 각종 전통 탈 등을 활용하여 서양식 카툰 스타일로 재해석한 묘사로 보여진다.
319 * ||<table width=450><nopad> [[파일:1000012014.jpg|width=100%]] ||
320 진우의 400년 전 회상씬에서 궁에 들어갈 때 왕이 중전과 함께 용상에 같이 앉아 있는 장면이 나오는데, 왕이 용상 위에 용교의가 아닌 보료를 깔고 바로 앉은 모습, 조정 중신들의 흉배가 달린 붉은 관복[* 왕이 용상 위에 용교의 없이 바로 앉거나 조정 중신들의 흉배 달린 붉은 관복은 한국 사극에서도 나타나는 흔한 역사적 구현 오류이기도 하다. 붉은색 관복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붉은 관복은 공식 석상이 아닌 일반 집무용 의상이었고 흉배가 달려 있지 않았다. 400년 전인 조선 중후기 당시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가슴에 흉배가 달린 아청색의 흑단령을 착용했다. [[https://blog.naver.com/dndudwp99/221350375059|#]]], 뒷배경의 궁녀들의 배치와 함께 명백한 역사적 구현 오류 장면으로 꼽히지만, 이는 영화 [[왕의 남자]]에서 [[:파일:1000012015.jpg|연산군이 장녹수를 옆에 끼고 어좌에 앉아 있는 장면]]에서 레퍼런스를 따온 장면이다. [[https://youtu.be/QEWqMn9mf98?t=207|#]] 그래서 진우가 살던 시대가 사실은 400년 전 인조 시대가 아닌 연산군 시대가 아니었냐는 이야기도 있다.
321 * 작중의 헌터들은 세대마다 새로 [[3인조]]가 선발되어 춤과 노래의 힘으로 사람들의 유대를 연결하여 악령을 막아낼 장벽인 '혼문'을 세우는 임무를 전승해 간다. 여기에 [[https://x.com/warden_sasha/status/1936049420958851143|한국 대중가요 역사상의 걸그룹 발전사]]를 접목하여 표현했는데, [[https://x.com/galaxyspeaking/status/1937021370816426305|선배 세대들]]의 모티브는 한반도 최초의 걸그룹 [[저고리 시스터즈]], 최초의 한류가수로 분류되는 [[김시스터즈]], 70년대 3인조 걸그룹 [[희자매]], 80년대 댄스 뮤직을 주 콘셉트로 삼은 최초의 걸그룹이라 할 수 있는 [[세또래]]로 추정된다. 또한 [[HUNTR/X|헌트릭스]] 바로 이전 세대의 퇴마사 '선라이트 시스터즈'들은 90년대 후반의 [[1세대 아이돌|1세대 걸그룹]]으로 표현되는데 [[S.E.S.]][* 실제로 그룹명 '선라이트 시스터즈'를 SunLight Sisters, 즉 S.L.S로 축약할 수 있다.]에 대한 레퍼런스라고 한다. 흡사한 헤어스타일에 더해 시기상으로도 적합한 것이 90년대에 아이돌을 했던 당사자들이 20대 중후반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다면 그 딸이 3~4세대 아이돌로 데뷔할 나이가 되기 때문이다.[* 1세대 아이돌의 자녀가 데뷔한 케이스는 아직 없지만, 그들보다 몇 년 이른 90년대 초에 활동했던 가수들의 2세가 아이돌로 활동 중인 사례는 있다.]
322 * 미라가 패션쇼에서 선보였던 침낭패션은 [[캠핑클럽]]에서 선보였던 [[핑클]]의 리더 [[이효리]] 모습이 연상된다. 그리고 그녀는 실제로 시상식 영상에서 이불 드레스를 선보였다.
323 * 작중 등장인물들이 현실의 특정 연예인이나 그룹을 참조하여 제작되었다는 기사가 있지만,[[https://www.forbes.com/sites/laurasirikul/2025/06/19/director-maggie-kang-reveals-who-inspired-kpop-demon-hunters-characters/|포브스]] 메기 강 감독의 X에 따르면 기사에 나온 아이돌 이름은 인터뷰어가 언급한 것이고 메기 강 본인은 아이돌 개인을 특정해서 말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https://x.com/maggiemkang/status/1938683539135791189|메기 강 X]]
324 * 영화 중간에 나오는 '우리랑 놀자!' 버라이어티 쇼는 [[형돈이와 대준이]]가 진행했던 [[주간 아이돌]]의 패러디이다. 동시에 [[HUNTR/X|헌트릭스]]가 타고 내려오는 미끄럼틀과 볼풀은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의 아이덴티티인 미끄럼틀 세트의 패러디로 보인다.
325 * 서구권에서는 [[3인의 법칙|세 명의 여성 팀으로 구성된 전투원]]을 주력으로 다루는 특징과 개그 분위기 때문에 [[파워퍼프걸]][* 작중에서도 초반에 팬들이 입은 옷들 가운데 파워퍼프걸 분위기로 헌트릭스가 그려진 윗옷이 있다.] 내지 [[Totally Spies!]](舊 말괄량이 삼총사, 現 스파이 삼총사) 등의 작품을 한국식으로 만든 것 같다는 평가가 많다. 물론 이 분야의 원전은 [[미녀 삼총사]]다.
326
327===# 의문점 및 미해결 떡밥 #===
328시리즈가 아닌 1시간 39분(99분)짜리 장편 애니메이션[* 뒤의 엔딩 크레딧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러닝타임은 1시간 25분(85분) 정도로 더욱 줄어든다.]이다 보니 러닝타임 내 분량 조절을 위해 일부 묘사나 설정 등 해명되지 않거나 풀리지 않은 부분이 있어, 관객들이 궁금해하거나 의문을 가진 점을 정리한 문단이다. 이중 일부는 추후 후속작이나 비하인드 공개 등으로 풀릴 가능성이 있다.
329
330 * '''루미의 아버지^^악령^^의 정체, 그리고 어머니 류미영과 이어지게 된 경위'''
331 초기 컨셉 아트를 통해 일반적인 저승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류미영의 옆에서 온화한 미소를 짓는 것으로 보아 악령이긴 하나 진우처럼 인간성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 밖에는 정보가 풀리지 않았다.
332
333 * '''류미영의 사망 원인'''
334 루미의 어머니 류미영의 사망 원인이 묘사되지 않는다. 극중 인물들 모두 류미영의 사망 경위를 일언반구도 언급하지 않는다.[* 단 컨셉아트와 초기 설정에선 셀린이 모종의 이유로 류미영을 살해하고 사고로 위장한 것으로 되어있다가 루미가 진실을 알고는 엄마를 왜 죽였냐며 셀린에게 분노하고 악령으로 각성하는 장면이 있었다. 헌터들이 악령을 무조건적으로 처단해야 할 존재로 인식하는 것을 감안하면 셀린이 악령과 가까운 사이가 된 류미영을 위험 요소로 판단하고 처단했을 가능성도 있다.]
335
336 * '''루미가 문양이 있음에도 귀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
337 작중 문양이 있는 악령들은 귀마의 힘에 저항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되며 극후반 부에는 일반인들은 물론 헌터인 동료들까지도 세뇌에 걸리게 될 정도로 강력해졌으나 루미는 거의 반 악령화가 된 상태임에도 귀마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작중 귀마가 '문양이 있음에도 나의 힘이 닿지 않는다.'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진우 등 다른 이들과는 달리 루미에게는 귀마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나마 최종장에서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좌절감을 주려 말을 걸었던 게 유일한 목소리 전달인데 이마저도 루미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헌터의 역사에서 언급된 황금 혼문과 관련한 추측 중 루미가 악령의 피를 이어받았음에도 귀마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가 류미영의 죽음과 관련한 떡밥으로 루미의 몸에 불완전하게나마 '''황금 혼문을 집어넣은 것 아닌가'''라는 추측도 있다. 왜인지 악령화에 잠식되가는 루미는 다른 악령들과는 다르게 직접적으로 혼문에 영향을 주는 묘사가 있으며 최종장에서 동료인 미라와 조이를 포함 다른 사람들은 모두 혼이 묘사되는 와중에 '''루미의 혼만 묘사되지 않는다.'''
338
339 * '''루미와 셀린의 갈등 이후 묘사되지 않은 셀린의 행보'''
340 공교롭게도 이 갈등이 있고 난 뒤부터 '''셀린은 작중 끝날 때까지 모습을 비추지 않는다.''' 더욱이 셀린의 가치관은 '자신의 약점은 감춰야 한다(완벽주의)'로 삼인방의 '나약한 자신의 모습도 받아들여야 한다(수용주의)'의 입장과 대척되는 입장이다. 이 갈등은 끝내 작중에서 해소되지 않는다.[* 초기 이 갈등 장면의 컨셉 아트에서는 모종의 이유로 '''셀린이 류미영을 죽였다'''는 충격적인 진실이 드러나는 장면도 있었다.]
341
342 * '''주인공 삼인방의 과거'''
343 주인공 삼인방 모두 아이돌 활동에 따른 애칭을 쓸 뿐, 본명이나 과거사 등은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다. 작중 조이가 [[HUNTR/X|헌트릭스]]가 되기 전에 관해 이야기하는 부분으로 보아 가장 늦게 헌트릭스에 합류했다는 정도는 유추할 수 있으며 미라는 가정의 불화가 아직까지도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결국 현재 진행형이고 주인공 삼인방 모두 개인의 갈등은 해결했을지언정 가족들과의 갈등은 여전히 풀지 못하고 작품이 끝났다.
344
345 * '''버려진 진우의 가족들의 행방'''
346 이들이 400년 전 인물들인 만큼 그 직후부터 방치된 채 굶어 죽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생김새와 옷을 근거로 헌터가 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457443|#]][* 다만 해당 링크의 루리웹 게시물 댓글 중에서도 지적되듯이 단순히 캐릭터 모델 돌려쓰기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일례로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픽사]]의 애니메이션인 [[라따뚜이(애니메이션)|라따뚜이]]는 작중 반동인물인 [[안톤 이고]]의 어린 시절 회상에서 나온 집의 내부 구조가, 극중 초반부에서 주인공인 [[레미(라따뚜이)|레미]]와 그의 가족들이 살고 있던, 할머니 [[라따뚜이(애니메이션)/등장인물#마벨|마벨]]의 집과 구조가 똑같은 것을 근거로 마벨이 안톤 이고의 어머니가 아니냐는 추정이 있었으나 당작의 감독인 [[브래드 버드]]가 '구상 시간이 촉박하여 소품 모델들을 재사용한 것'이라 일축한 바 있다. [[https://x.com/BradBirdA113/status/1173997144094564352|#]]]. 일각에서는 후반부 루미가 악령화되어가는 과정에서 '혼문 같은 건 없는 게 낫다'고 선언했음에도 귀마를 저지하기 위해 콘서트에 난입했을 때에는 '다시 혼문을 만들 것'이라 선언했는데 이를 토대로 '콘서트까지 향하는 과정에서 루미를 각성하게 해주는 역할을 진우의 가족들의 영혼이 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347
348 * '''끝내 완성되지 못한 황금 혼문과 루미의 문양이 사라지지 않은 이유'''
349 최종장에 펼쳐진 혼문은 기존에 있던 푸른빛 내지는 오로라빛 혼문이지 작중 언급되었던 황금 혼문이 아니다. 실제로 최종전 루미와 귀마의 대결에서 귀마가 '이제 혼문이 없다'고 하자, 루미는 '없지, 우리가 다시 만들거야' 라고 했는데 '혼문'을 만들 것이라고 하지 '황금 혼문'을 당장 완성한다고 말하진 않았다. 즉 결말 시점에서도 '원래 있었다가 사라진 혼문을 겨우 복구'한 것이지 아직 '황금 혼문을 완성'하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 때문에 여전히 루미의 문양은 사라지지 않았다. 루미의 문양은 '황금' 혼문이 완성되어야만 사라진다고 언급되었기 때문이다. 결말 시점까지 황금 혼문이 완성되는 장면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서 제작진이 시즌 2를 염두에 둔 것으로 추정 가능하다.
350
351 * '''악령에게 혼을 먹힌 사람들(실종자)의 행방'''
352 혼만 먹혔다기에는 아예 저승으로 끌려간 듯 순식간에 사라져서 행방이 묘연하며, 지하철 씬을 보면 영혼이 빠져나가고 육체만 혼이 나간 채 있는 게 아니라 육체 상태로 같이 실종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작중에서도 뉴스에서 실종자가 증가했다는 언급이 나온다.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얼굴 없는 잡귀들을 근거로 혼을 빼앗긴 인간은 잡귀가 되어버리는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으나 공식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다. 또 [[HUNTR/X|헌트릭스]]가 [[Saja Boys|사자 보이즈]]를 완전히 무찌르고 혼문을 완성한 이후에 엔딩 장면에서 지하철에서 실종되었던 인물이 바깥에서 생활하는 모습이 있으나, 이것이 실종자들의 복귀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캐릭터 모델 재사용인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귀마를 물리친 후 헌트릭스가 3개월 공백기 동안에도 별 걱정 없이 지내는 걸 토대로 돌아온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만 애초에 진우의 소멸이라는 충격 전개가 있었음에도 잘 지내는 것처럼 단순 극적 허용일 가능성도 있다. 복귀했다면 복귀자들은 실종 기간 동안의 기억이 있을지 등도 의문이다. 진우의 경우는 혼이 빠져나가면서 육체가 소멸했다.[* 물론 이 쪽은 '''인간이 아니다.''' 진우의 경우는 귀마의 힘을 받은 인간이 악령으로 변한 모습인데다 그로부터 400년이라는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실종된 사람들과는 결 자체가 다르다.]
353
354 다만 영혼이 빠져나간 육체는 [[시체]]가 되는, 곧 [[죽음]]이라는 통념과 본작이 [[12세 이용가|12세 이상 관람가]]로 책정되었다는 외적인 요인을 감안하면 단지 수위상의 문제로 본래 기획에서는 시체로 처리할 것을 제작 과정에서 해당 인물 자체가 사라지는 실종으로 처리했을 가능성도 있다. 당장 예의 [[서울 지하철 7호선]]을 모티브로 한 전철 전투 시퀀스를 보면 이미 열차 한 량에도 승객이 꽤 많았는데 열차 지붕 위 전투가 사실상 패배로 끝난 뒤 해당 객차 내부의 (영혼을 빼앗긴) 승객들을 모조리 시체로 처리한다면 유혈 묘사가 없다고 한들 본작의 수위가 못해도 15세 관람가가 되어버린다.[* 연출상 앞뒤 칸까지 합쳐 최소 3량의 열차 승객은 모조리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장면은 휴대전화나 쇼핑백에 담겨있었던 [[귤]]을 비롯한 승객의 소지품이 열차 내에 어지럽게 널부러진 모습을 연출하는 것으로 시체를 대신 표현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55
356 * '''최종전의 사건에 대한 대중들의 기억과 사자 보이즈 행방 처리'''
357 [[HUNTR/X|헌트릭스]]가 퇴마사란 사실과 [[Saja Boys|사자 보이즈]]가 악귀라는 사실은 대중들에게 철저하게 비밀로 부쳐져있기 때문에, Takedown 공연 장면에서 헌트릭스의 불화설[* 대놓고 뉴스에서 '헌트릭스 무대위 난동'이라는 자극적인 타이틀로 대대적으로 보도될 정도였다.], 또한 최종전에서 대중들 앞에서 보여준 헌트릭스와 악마화된 사자 보이즈의 대결, 인간 세계 앞에 모습을 드러낸 귀마의 모습, 해당 결투 이후 사자 보이즈가 실종된 점 등을 대중들에게 어떻게 해명했을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결말에서 별다른 논란 없이 헌트릭스가 복귀한 모습이 그려지는데, 무대 퍼포먼스로 넘겼다든지 기억 소멸 같은 추측은 있으나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용은 없다.[* 그러나 최초의 헌터들은 사람들 앞에서 악귀들을 물리쳤고 마지막에 나오는 전광판에는 루미가 문양이 있어 그냥 공개한 것일 수도 있다.] 추측해볼 수 있는 장면은 있는데 헌트릭스 복귀 후에 사자보이즈의 응원봉이 단체로 쓰레기통에 버려져있는걸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자보이즈가 자연스럽게 대중에 관심에서 사라졌다는 연출로 의도되는 부분이다. 애초에 악귀의 홀림으로 얻은 인기였기 때문에 이들이 퇴마되고 나서 사자보이즈를 향한 팬심이 모두 자연스럽게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358
359 * '''호랑이와 까치의 정체 (부분 해결)'''
360 첫 등장 시 저승에 있을 때는 진우의 곁에 있으면서 붉은 안광이 나와 악령으로 보이는가 했지만 이승에서는 오히려 푸른 오라를 사용하는 모습과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정체에 대한 의구심이 남아있다. 이후 작가의 SNS에 '어느 세계에서도 있을 수 있는 중립적인 존재 / 착한 귀신'이라는 설정이 공개되었다. 제한된 분량으로 인해 해당 관련 스토리는 넣지 못했다고 한다.
361
362 * '''연이은 좌절을 겪은 루미가 깨달음을 얻은 과정 (부분 해결)'''
363 셀린과의 갈등 때 루미가 혼문 따위 없어져도 좋다면서 사라졌다가 콘서트장에 나타나기까지의 심경 변화 과정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대게 이런 류의 작품에서는 세 명의 우정을 상징하는 물건/기억/추억을 매개로 다시 각성하는 연출이 흔한 클리셰지만 분량 조절 문제로 그마저도 나오지 않았다. 물론, 이때 루미가 말하는 혼문은 '억압과 단절'이라는 부정적 의미고 콘서트장에서 새로 만들겠다는 혼문은 '평화와 보호'의 의미로 말했을 가능성은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변화에 이르기까지의 심경 변화 과정이 전혀 묘사되지 않아 콘서트장으로 향하는 중 무슨 일이 있던 것인지는 떡밥으로 남게 되었다. 이후 컨셉아트를 통해 자신의 악령으로서의 힘을 통제하고 어머니를 죽인 셀린에게 분노한 감정을 달래려고 어머니의 무덤 앞에서 노래하는 장면이 있었다는 게 밝혀졌다. [[https://newduck.net/board_wmOE27/109386345|#]]
364 [[파일:Rumi's_ Song.jpg|width=800]]
365
366== 밈 ==
367 * 작중 아이돌들이 혼문이라는 결계를 만들어 악귀들을 막고 세상을 구한다는 콘셉트 때문인지, 케이팝 가수들이 전지구적 사고가 발생할 때 세상을 구했다는 밈적 농담들이 SNS에서 조금씩 퍼지고 있다. 주로 혼문이라는 설정에 맞게 어마어마한 위업을 이룬 가수나, 파격적인 콘셉트로 유명한 가수들이 언급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싸이]]가 [[2012년 지구멸망설|2012년에]] [[강남스타일|우리 모두를 지켜냈다]]"'''는 농담이 있다. [[https://www.tiktok.com/@stewp/video/7519404223692360980|#]][* 지구멸망 제지 드립은 해당 영상의 베스트 댓글에서 발췌, 영상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텍스트는 '''"싸이가 귀마였다면 우린 다 죽었을 거야"''' 라는 내용이다.]
368 * 반면 [[박진영]]의 경우 2025년 [[워터밤]] 행사 때의 모습 때문에 케이팝 '''[[악귀|데몬]]'''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0852867|#]]
369 ||<table width=400><nopad> [[파일:케이팝데몬jyp.jpg|width=100%]] ||
370 그런데 절묘하게도 매기 강 감독이 코스모폴리탄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초기에 귀마를 구상할 때, 귀마도 아이돌이 되고 싶어했다는 설정이 있어서 '''실제로 박진영을 캐스팅에 고려했었다고 한다.'''[[https://youtu.be/KVndGYHjp7U?t=438|#]]
371 * 국내를 포함해 미국 빌보드나 여러 해외의 음원 차트에서 헌트릭스의 음원이 사자 보이즈의 음원 순위보다 더 높아지면 '혼문이 완성되었다'라고 하며, 반대로 사자 보이즈의 음원이 헌트릭스의 음원보다 더 순위가 높아지면 '혼문이 깨졌다'라고 한다.
372 * 실존 케이팝 아이돌이자 엔딩 테마 'TAKEDOWN'을 부른 [[TWICE]]의 [[정연]], [[지효]], [[채영]]이 [[HUNTR/X|헌트릭스]] 멤버들의 의상을 리뷰하는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https://youtu.be/CDcEf3bGfcs|#]]
373 *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루미]]가 김밥 한 줄을 통째로 먹는 장면이 인기를 끌면서 밈이 된 바 있다.
374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 앵커=김밥)]
375 * 초반부의 콘서트 후에 숙소에서 [[조이(케이팝 데몬 헌터스)|조이]]와 [[미라(케이팝 데몬 헌터스)|미라]]가, 후반부 엔딩 직전에 [[HUNTR/X|헌트릭스]] 셋이서 Couch! Couch!를 외치는 부분이 인기를 끌고 있다. Google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풀네임으로 치면[* 언어는 상관 없다.] [[:파일:CouchCouchCouch.gif|검색결과 바로 윗부분의 띠에서 Couch! Couch!가 지나간다.]]
376
377===# 소셜 챌린지 #===
378 * [[Soda Pop(케이팝 데몬 헌터스)|Soda Pop]]
379 * 하성진[* 원작 안무가] - [[https://youtube.com/shorts/LwrzUXEa4Xc|#]], [[https://youtube.com/shorts/xJ1yHz78YQI|튜토리얼]]
380 * [[케빈(1991)|케빈]][* 미스터리 보컬] - [[https://youtube.com/shorts/RVPlUh8C7bM|#]], [[https://youtu.be/014uVEK6HPg|##]], [[https://youtu.be/014uVEK6HPg|커버]]
381 * [[ZEROBASEONE]] - [[https://youtube.com/shorts/Qx64iwYTJxc|#]]
382 * [[TWS]] - [[https://youtube.com/shorts/gd6syC-tfyE|#]]
383 * [[RIIZE]] - [[https://youtube.com/shorts/ceiw6iYEuYg|#]]
384 * [[CRAVITY]] - [[https://youtube.com/shorts/MXsi--4AB1Q|#]]
385 * [[IVE]][* 가을,이서] - [[https://youtube.com/shorts/a_hdQjQHXFY|#]]
386 * [[QWER]] - [[https://youtube.com/shorts/v6CNZUE5-_Y|#]]
387 * [[방탄소년단]] - [[https://youtube.com/shorts/NYR-qmghLm0|비공식]]
388 * [[LE SSERAFIM]] - [[https://youtube.com/shorts/cXDQ52_i0sA|#]]
389 * [[FIFTY FIFTY]] - [[https://youtube.com/shorts/GNyR9VGImBM|#1]], [[https://youtube.com/shorts/Tx-MSTVvm_0|#2]]
390 * [[NMIXX]] - [[https://youtube.com/shorts/D3fl5GJGnWU|#]]
391 * [[차은우]] - [[https://youtube.com/shorts/liT--qgQ1A8|비공식]]
392 * [[원호]] - [[https://youtu.be/oNSGFnljhdg|커버]]
393 * [[STAYC]] - [[https://youtube.com/shorts/tiHEqDrd_wo|#]]
394 * [[PLAVE]] - [[https://youtube.com/shorts/6NC5unDGic0|#]]
395 * [[온앤오프]] - [[https://youtube.com/shorts/QY9p2rg32Jc|#]]
396 * [[MAYTREE]] - [[https://youtube.com/shorts/0CzS4GHgyZk|#]]
397 * [[차커 Chaco|타타타타 TATATATA]] - [[https://youtu.be/S7LezCB0y2o|계산기 커버 #1]] [[https://youtu.be/kNc8qwMZCuc|계산기 커버 #2]] [[https://youtu.be/rzdJHq5esK0|계산기 5개로 연주한 버전]]
398 * [[Beat Saber|비트세이버]] - [[https://youtu.be/WN1S10Rhty4|커버]]
399 * [[BOYNEXTDOOR]][* 성호,리우,명재현] - [[https://youtube.com/shorts/9dnYDTAfPFU|#]]
400 * [[Davie504]] - [[https://youtu.be/gCp5YDtl6zk|소다캔 커버]]
401 * [[https://www.youtube.com/@Itsnathanlust|NathanLust]] - [[https://youtube.com/shorts/OCOYWpMT5T4|#]]
402 * [[https://www.youtube.com/@jhn_studio|정훈남JHN STUDIO]] - [[https://youtu.be/jJQ0f5-29jY|8비트커버]]
403 * [[김수환(크리에이터)|수마일]] - [[https://youtu.be/lh9NUfk8hag|#]]
404 * [[아크사인(유튜버)|아크사인]] - [[https://youtu.be/ZY8TDhA-eTU|만리로 쏘라우 팍]]
405 * [[한지아뮤직]] - [[https://youtu.be/Oya3R7ePk1A|술 다 깜]]
406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Soda Pop, version=149, uuid=b45e24d2-2abf-4f3b-9cc2-586e261569bd, paragraph=6)]
407 * [[Raon]] - [[https://youtu.be/FgeuBYXOsi0?si=RLY_J_NaPGgXyidC|커버]]
408 * [[좀비딸]][* 300백만 달성 공약] [[조정석]] [[이정은(1970)|이정은]] [[조여정]] [[윤경호]] [[최유리(2009)|최유리]] [[나영석]] - [[https://youtube.com/shorts/qCX6SzFDMvs?si=Xrii9X96UkAAk3O1|#]], [[https://youtube.com/shorts/Ffcb0TpGFKk?si=3o3KbzL6Akem2tno|#조정석]]
409 * [[정성하]] - [[https://youtu.be/8X5RLcZfF7Y?si=NdpID7dp8jukrvy0|기타커버]]
410 *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
411 * [[조나인]][* 원작 안무 시안으로, 한글 가사가 없는 제작 중 음악이 들린다.] - [[https://youtu.be/UjNoK78cylE|#]]
412 * [[ITZY]] - [[https://youtube.com/shorts/MgK_smGnKFw|#]]
413 * [[IVE]][* 안유진]- [[https://youtube.com/shorts/jE49719r910|#]], [[https://youtu.be/AuaABDWFs_8|커버]]
414 * [[NMIXX]] - [[https://youtube.com/shorts/URVSDoFo2Ws|#]]
415 * [[CRAVITY]] [[우빈]] - [[https://youtube.com/shorts/vhRLBaCyrIE|비공식]]
416 * [[신나리(성우)|신나리]], [[김도영(성우)|김도영]], [[김예림(성우)|김예림]][* 한국어판 HUNTR/X 목소리 연기]- [[https://youtu.be/VjCIAcMfj7I|커버]], [[https://youtu.be/8tsbNwKGAhc|커버 작업기]]
417 * [[ILLIT]] [[이로하(ILLIT)|이로하]]+[[아덴 조]] - [[https://www.youtube.com/shorts/d_34KshDp0A|#]]
418 * [[USPEER]] - [[https://youtube.com/shorts/QxlFgFvchvw|#]]
419 * [[Hearts2Hearts]] - [[https://youtube.com/shorts/1MVApU8LYkU|#]]
420 * [[VIVIZ]] - [[https://youtube.com/shorts/ubFxnssMggE|#]]
421 * 조민기 - [[https://youtu.be/CyPlBzolwZE|커버]], [[https://youtube.com/shorts/Mkb6pQKvq2o|#1]]
422 * [[권진아]] - [[https://youtu.be/4RxlC-5nAsc|커버]]
423 * [[이신혁]] - [[https://youtu.be/1jAtgZoEzwo|커버]]
424 * [[MAYTREE]] - [[https://youtube.com/shorts/nY45q6vzs7Y|#]]
425 * [[차커 Chaco|타타타타 TATATATA]] - [[https://youtu.be/l3vmlK4-Lfc|계산기 커버 #1]] [[https://youtu.be/HBraOry2xgQ|계산기 커버 #2]]
426 * [[i-dle]] - [[https://vt.tiktok.com/ZSBvbmHks/|#]]
427 * [[마마무]] [[솔라(마마무)|솔라]] - [[https://youtu.be/THkxkhBWrdA$0|커버]]
428 * [[소향]] - [[https://youtu.be/ggnonoru5Uw|커버]]
429 * [[ablume]] [[시오(ablume)|시오]] - [[https://youtu.be/BvkWqMBMNzc|커버]]
430 * [[어반자카파]] [[권순일(가수)|권순일]] - [[https://youtu.be/mW90rw8vfP0|커버]]
431 * [[Hearts2Hearts]]+[[아덴 조]] - [[https://youtube.com/shorts/1MVApU8LYkU|#]]
432 * [[이해리]] - [[https://youtu.be/15uXlIIoh7g|커버]]
433 * [[박다혜]] - [[https://youtu.be/ePlIj2XZipM|커버]], [[https://youtu.be/huqUnIVAjHg|커버2]]
434 * [[손승연]] - [[https://youtu.be/vpc_gnrRh8M|커버]]
435 * [[류민희]] - [[https://youtu.be/P7OFxVnjoSM|커버]]
436 * [[송유진(가수)|송유진]] - [[https://youtu.be/ujcFcfKwe3w|커버]]
437 * [[박기영]] - [[https://youtu.be/YoK-vfT9d68|커버]]
438 * [[S.E.S.]] [[바다(S.E.S.)|바다]][* 셀린의 설정 및 외형 모티브] - [[https://youtu.be/UJNVGZzyAcs|커버]]
439 * [[에일리]] - [[https://youtu.be/PKT-y0e--Zc|커버]]
440 * [[걸스데이]] [[방민아]] - [[https://youtu.be/6i3_pFqeBug|커버]]
441 * [[소향]] - [[https://youtu.be/qEZfb_XQtmg|커버]]
442 * 20세기보이즈, 전 노라조 [[이혁]] - [[https://youtube.com/shorts/0aRibDcT3yA|커버]]
443 * [[SUPER JUNIOR|슈퍼주니어]] [[려욱]] - [[https://youtu.be/hF8RKhGFO6g|커버]]
444 * [[빅마마]] [[이지영(가수)|이지영]] - [[https://youtu.be/v1vIUzqUI9Q|커버]]
445 * [[빅마마]] [[이영현]] - [[https://youtu.be/73IA9HNYlr8&t=48|커버]]
446 * [[전상근]] - [[https://youtu.be/DLiCM_k_cc4|커버]]
447 * [[Beat Saber|비트세이버]] - [[https://youtu.be/NUtLpRrOXyU|커버]]
448 * [[탑현]] - [[https://youtu.be/mZUKITnpe8c|커버]]
449 * [[동이혼|윤세나]] - [[https://youtube.com/shorts/it_P51JCDeI|Rock 커버]]
450 * [[https://www.youtube.com/@RainPariss|Rain Paris]] - [[https://youtu.be/RhoxHWu0Cgo|Rock 커버]]
451 * [[Davie504]] - [[https://youtu.be/rfJRJSfT84c|Bass 커버]]
452 * [[Raon]] - [[https://youtu.be/fo7LtWAlpJc|커버]]
453 * [[배그나]] - [[https://youtu.be/IzeAH13qGVc&t=34|트롯 커버]]
454 * [[브브걸]] [[민영(브브걸)|민영]] - [[https://youtu.be/kZ8cAzyjovo|커버]]
455 * [[annapantsu]] - [[https://youtu.be/zBOFDvmOrl4|커버]]
456 * [[https://www.youtube.com/@jhn_studio|정훈남JHN STUDIO]] - [[https://youtu.be/qMWqNXVCFiw|8비트커버]]
457 * [[https://www.youtube.com/@rockyeong_music|락영]] - [[https://youtu.be/to6F-TjZWhc|조선락커버]]
458 * [[W&W]] - [[https://youtu.be/0UwfuziheTY|EDM리믹스커버]][* 혼문이 완성되었다는 페스티벌 영상에서 사용되는 음악]
459 * [[https://www.youtube.com/@OneTakePelleK|OneTakePelleK]] - [[https://youtu.be/tXn8g2nlTOo|메탈커버]]
460 * [[Jonathan Young|조나단 영]] - [[https://youtu.be/0-xSuAexKTw|메탈커버]]
461 * [[https://en.wikipedia.org/wiki/Emma_Heesters|Emma Emma_Heesters]] - [[https://youtu.be/1qwq1UCG9c4|커버]]
462 * [[Eddie van der Meer]] - [[https://youtu.be/Z_E-fl4HhvE|핑거스타일기타커버]]
463 * [[소유(가수)|소유]] - [[https://youtu.be/HrI1q9e8JXQ|커버]]
464 * [[윤하]] - [[https://youtu.be/795zA6fwc14?si=HELuKqhCpBlryYT3|커버]]
465 * [[휘서]] - [[https://youtu.be/SNZ_jdQv-c0|커버]]
466 * ~~햄부기~~[[이수지]] - [[https://youtu.be/eT-PJANHC2s|커버]]
467 * [[서은광]] - [[https://youtu.be/S4jSBQ8oMbA?si=kMoMWPmklRbLN596|커버]]
468 * [[Shania Yan]] - [[https://youtu.be/WB3mAClUVKc?si=OMciQyakdiwIy-Uo|커버]]
469 * [[https://www.youtube.com/@ahan_annan|A2]] ([[우아한|Ahan]] / Annan) - [[https://youtu.be/D2S4E0MyyAI?si=TSEUJrYxJSr8zy9E|일본어커버]]
470 * [[STAYC]] - [[https://youtu.be/gFnvecDXBhk?si=axz8DgjJXzwalo77|Mnet 라이브커버]]
471 * [[https://youtube.fandom.com/es/wiki/Miree|Miree]] - [[https://youtu.be/w0eoqWfL3zQ?si=naZyTD0un07EUUsx|스페인어커버]]
472 * [[Billlie]] - [[https://youtu.be/avEl4RdTuXo?si=yrsH0hODLHRaXHkR|커버]]
473 * [[해봄]] - [[https://youtu.be/Z0S7VXOGwlU?si=Jar89UuRaSs1Mx_r|커버]]
474 * [[http://www.youtube.com/@CalebHyles|Caleb Hyles]] - [[https://youtu.be/3rd24NW51tw?si=vUjIQXW6qsrgWzC8|커버]]
475 * [[김진산]] - [[https://youtu.be/J0RlzSURSZo?si=MnHDutGHZcm075Ro|핑거스타일기타커버]]
476 * [[정성하]] - [[https://youtu.be/y23BxN55pwc?si=CL5k5qRkNFu3D0-v|기타커버]]
477 * [[http://www.youtube.com/@its.safehse|Safehse Music]] - [[https://youtu.be/bJ6QjyfbWQo?si=2Swhae60NUi1D6xm|기타커버]]
478 * [[How It's Done]]
479 * [[김도영(성우)|김도영]][* 미라 한국어판 목소리 연기] - [[https://youtu.be/hwrUf5W4Uqw|커버]]
480 * [[AleXa(가수)|AleXa]] - [[https://youtu.be/yI_BOQjDBHo|커버]]
481 * [[차커 Chaco|타타타타 TATATATA]] - [[https://youtu.be/NIhIhSIkDDw|계산기 커버]]
482 * [[Beat Saber|비트세이버]] - [[https://youtu.be/_7tb5yATQdU|커버]]
483 * [[https://www.youtube.com/@CheeseburgerSounds|CheeseburgerSounds]] - [[https://youtube.com/shorts/Z8f7xHYw24Y|커버]]
484 * [[https://www.youtube.com/@rockyeong_music|락영]] - [[https://youtu.be/7j5t6b0cI7g|조선락커버]]
485 * [[https://youtube.fandom.com/es/wiki/Miree|Miree]] - [[https://youtu.be/X9jPDTbTnaI?si=UCA2syIImZTX1RmL|스페인어커버]]
486 *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s-2.8|Free]]
487 * [[안효섭]][* 진우 오리지널(영어판) 목소리 및 모션캡쳐 연기] - [[https://youtu.be/5sBoAWOEC_Q|커버]]
488 * [[박준희(에이스)|박준희]] + [[AleXa(가수)|AleXa]] - [[https://youtu.be/MuNoEpD5rW4|커버]]
489 * [[MAYTREE]] - [[https://youtube.com/shorts/Ydi7TT-78Xc|#]]
490 * [[아덴 조]] + [[차은우]][* 루미 오리지널(영어판) 목소리 연기 + 진우의 외형 모티브] - [[https://youtu.be/K5cOvVrHo0Q$0|커버]]
491 * [[Eddie van der Meer]] - [[https://youtu.be/815JwmfmWls|핑거스타일기타커버]]
492 * [[https://www.youtube.com/@kamekomusic|kameko]] - [[https://youtu.be/IoTvz_87qTg|어코스틱커버]]
493 * [[https://youtube.fandom.com/es/wiki/Miree|Miree]] - [[https://youtu.be/_-6KrgISDVQ?si=HpVmGOFoMdYmCmXK|스페인어커버]]
494 * [[https://www.youtube.com/@OneTakePelleK|OneTakePelleK]] - [[https://youtu.be/tXn8g2nlTOo|메탈커버]]
495 * [[http://www.youtube.com/@its.safehse|Safehse Music]] - [[https://youtu.be/wc44wzcXwzw?si=gSGPxd20c9IsQaaB|기타커버]]
496 * 앤드류 최[* 진우 보컬] - [[https://www.instagram.com/drewcmusic/reel/DMZ9vuGyF5v/|커버~~진짜가 나타났다~~]]
497 * [[Takedown(케이팝 데몬 헌터스)|Takedown]] & [[TAKEDOWN(TWICE)]]
498 * [[조나인]][* 자본주의 골반으로 유명해진 안무 시안] - [[https://www.tiktok.com/@sonypicturesanimation/video/7521409847720447246?is_from_webapp=1&sender_device=pc&web_id=7524695161360926209|#]]
499 * [[TWICE]] - [[https://www.tiktok.com/@twice_tiktok_official/video/7507550596870802696|#1]], [[https://youtube.com/shorts/jbdYnVcQBfY|#2]], [[https://youtube.com/shorts/nXaaCZzRayc?si=G66zSPJuesgW3uWp|#3 추가]]
500 * [[차커 Chaco|타타타타 TATATATA]] - [[https://youtu.be/1l0QL-oLhEA|계산기 커버]]
501 * 조민기 - [[https://youtu.be/_s8o-qyIwco|커버]]
502 * [[Beat Saber|비트세이버]] - [[https://youtu.be/_7tb5yATQdU&t=180|커버]]
503 * [[서울 지하철 7호선]] - [[https://vt.tiktok.com/ZSSx3BStp/|커버]]
504 * [[https://www.youtube.com/@rockyeong_music|락영]] - [[https://youtu.be/tKZs0M72CKc|조선락커버]]
505 * [[Your Idol]]
506 * [[박준희(에이스)|박준희]] - [[https://youtu.be/iqbsfcvuqUQ|커버]]
507 * [[원호]] - [[https://youtu.be/oNSGFnljhdg&t=48|커버]]
508 * [[케빈(1991)|케빈]] - [[https://youtube.com/shorts/mSj1VporfLQ|#]]
509 * 하성진 - [[https://youtube.com/shorts/guiLXtGzlIc|#]]
510 * [[몬스타엑스]] - [[https://youtube.com/shorts/9eplHqgveXU|#]]
511 * [[PLAVE]] - [[https://youtube.com/shorts/UlOdzehLcZ0|#]]
512 * [[온앤오프]] - [[https://youtube.com/shorts/fE73pn243Is|#]]
513 * [[MAYTREE]] - [[https://youtube.com/shorts/JVxOqfFZDpM|#]]
514 * [[차커 Chaco|타타타타 TATATATA]] - [[https://youtu.be/2U3yGoNmaBg|계산기 커버]]
515 * [[Beat Saber|비트세이버]] - [[https://youtu.be/WN1S10Rhty4&t=150|커버]]
516 * [[CG5]] - [[https://youtu.be/iLsDFD04a_s|커버]]
517 * [[annapantsu]] - [[https://youtu.be/v7LrTN7lRKY|커버]]
518 * [[아만다 리]] - [[https://youtu.be/8vzmBJGYZ3k|커버]]
519 * [[Jonathan Young|조나단 영]] - [[https://youtu.be/dRyW5QFknKI|메탈커버]]
520 * [[https://en.wikipedia.org/wiki/Our_Last_Night|Our Last Night]] - [[https://youtu.be/-8Br6e4u6DY|메탈커버]]
521 * [[https://www.youtube.com/@rockyeong_music|락영]] - [[https://youtu.be/-6PNDEN4_GA|조선락커버]]
522 * [[https://www.youtube.com/@DannyPhantomexe|Danny Phantom exe]] - [[https://youtu.be/mEK0owuRoks|#]]
523 * [[안준성]] - [[https://youtu.be/sCaOTKtt4FQ|바이올린커버]]
524 * [[케빈(1991)|케빈]][* 미스터리 보컬] - [[https://youtube.com/shorts/4izHrbCoFRo|커버]]
525 * [[동당]] - [[https://youtu.be/3xi1OHD4cLk|커버]]
526 * [[https://youtube.fandom.com/es/wiki/Miree|Miree]] - [[https://youtu.be/w0eoqWfL3zQ?si=naZyTD0un07EUUsx|스페인어커버]]
527 *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What It Sounds Like]]
528 * [[Beat Saber|비트세이버]] - [[https://youtu.be/_7tb5yATQdU&t=364|커버]]
529 * 조민기 + [[아덴 조]] - [[https://youtu.be/noMw0S6eyys&t=24|커버]]
530 * [[annapantsu]] - [[https://youtu.be/JC-T3p7XOhw|에픽커버]]
531 * [[i-dle]] [[우기(i-dle)|우기]] - [[https://youtu.be/ZoZQoYpZaso|커버]]
532 * [[아카펠라]]
533 * [[MAYTREE]] - [[https://youtu.be/LTADv3kPscE|커버]]
534 * [[https://www.youtube.com/@Thevoiceplay|VoicePlay]] - [[https://youtube.com/shorts/cVmtvCv609k|커버]]
535 * [[코스프레]]
536 * [[QWER]] - [[https://www.tiktok.com/@magenta6262/video/7523208123230866695|마젠타]], [[https://vt.tiktok.com/ZSBncxCYu/|히나]], [[https://vt.tiktok.com/ZSBnc4WnR/|히나+마젠타]], [[https://vt.tiktok.com/ZSBncpX7W/|시연+초단+마젠타+히나]]
537
538== 사건 사고 ==
539=== 공식 굿즈 오류 ===
540[[파일:넷플릭스_오피셜_굿즈_상태가.png|width=800]]
541
542[[파일:루미_님_이라고.jpg|width=600]]
543
544공식 굿즈 사이트에서 헌트릭스 캐릭터가 그려진 [[티셔츠]]를 판매했는데, 미라의 이름이 ''''MIRA KOTADOSKI(미라 코타도스키)''''[* 한국에서는 유독 슬라브계 성씨인 [[스키(인명)|-스키]]가 러시아에서 많이 쓰인다는 인식이 있으나 실제론 [[폴란드]]에서 더 많이 쓰인다.], 루미는 ''''RUMI NIM(루미 님)''''으로 기재되어 있었다. 헌트릭스 멤버들의 생일이나 성씨 등 개인 신상 정보 대부분이 작품에서 등장하지 않았는데 [[뇌피셜|뜬금없이 소니가 확인하지 않은 멤버들의 풀네임을 붙인 것이다]]. 일단 루미의 경우 존칭어로서의 [[님]]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한의원에서 한의사(허준봉)가 "루미 님~" 이라고 부른 걸 넷플릭스가 풀네임으로 착각한 모양. 당연한 말이지만 한국인의 성씨 중에 '님씨'는 없다.[* 물론 임씨(林氏/任氏)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두음법칙]]으로 발음해도 '림씨'이지, 님씨는 아니다.] 오류가 가장 심각했던 미라의 경우, 히어로 캐릭터를 다루는 [[FANDOM]] 위키의 미라 문서에서 [[문서 훼손]]된 [[https://hero.fandom.com/wiki/Mira_(KPop_Demon_Hunters)?diff=prev&oldid=3935427|버전]] 내용을 정작 공식 배급사인 넷플릭스 측에서 전혀 검수하지 않고 그대로 반영해버린 것이다. 당시 반달이 수습되기 전까진 구글 검색 결과에서도 그대로 반영됐던 상황이라 담당자가 이를 거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https://www.dogdrip.net/645565396|#]]
545
546애초에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성+이름 순이 일반적이지만, 이를 제외한 거의 대다수 국가는 이름+성 순이 일반적이고 여기에 미들네임이 더 추가되는 식이다. (그나마 유럽의 [[헝가리]] 정도가 동아시아와 비슷하게 성+이름 순의 표기법을 가지고 있을뿐이다.) 이 밖에도 해당 위키의 미라 문서 버전 비교 페이지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문서 훼손자는 공식적으로 이름이 공개된 적 없는 미라네 가족 구성원에게도 자기가 [[뇌피셜|멋대로 지어낸 이름]]을 공식인 것처럼 그대로 써놓았다. 미라의 아버지는 '키로 코타도스키(Kiro Kotadoski)', 미라의 어머니는 '두니아 코타도스키(Dunia Kotadoski)' 미라의 오빠는 '마수 코타도스키(Masu Kotadoski)'라는 괴상한 이름까지 붙어있다. 물론 [[재외동포]] 중에선 외국 성씨와 이름을 가진 이들도 있지만, 본작의 미라가 재외교포라는 설정은 확인되지도 않았을 뿐더러[* 교포라는 설정은 헌트릭스의 다른 멤버인 [[조이(케이팝 데몬 헌터스)|조이]]에게 있다.] 그렇다 치더라도 미라의 부모님이 둘 다 한국계이기 때문에 폴란드계 성씨일 가능성은 매우 낮다. 결국 해외 팬들이 넷플릭스에 강력하게 항의를 했는지[* [[X(SNS)|X]]에서 해당 키워드로 검색할 때, 미라나 루미의 성씨가 저게 맞냐는 해외 팬들의 항의식 글이 월등히 많이 나온다. [[한류|그만큼 이 작품이 해외에서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았다는 증거다.]]] 해당 물품 페이지는 빠르게 내려갔다. [[https://www.netflix.shop/en-kr/products/k-pop-demon-hunters-mira-kotadoski-oversized-faded-t-shirt?srsltid=AfmBOoobVXzXv7Puym-GREZm8nXIYu-nXjhC6QHI1fyPh1o7buOozO5-|#]] 현재는 정상적인 이름으로 수정되어 다시 올라온 상태. [[https://www.netflix.shop/en-kr/collections/kpop-demon-hunters/products/kpop-demon-hunters-mira-oversized-faded-t-shirt|#]]
547----
548 * 원래는 제작진들에게만 나눠주던 특전 굿즈를 제작진과 상의도 없이 공식 굿즈로 판매한 것이 밝혀져 제작진 중 한 명이 불만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https://x.com/cramdoodles/status/1944078209802203358|#]][[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ajaboys&no=2726|#]]
549 * 콩가라인(Conga line)[* [[쿠바]]의 카니발 댄스에서 파생된 라인 댄스로서 1930년대와 1950년대에 미국에서 인기를 얻었던 춤이다. 지금도 올드한 느낌의 파티에서 종종 보이기도 한다. 주로 [[수련회]] 등에서 어깨나 허리를 잡고 꼬리를 만들어서 빙글빙글 도는 춤이 바로 콩가라인이다.]을 추는 사자 보이즈의 핀브로치를 판매했었다.
550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px><nopad> [[파일:콩가라인_추는_사자보이즈.jpg|width=100%]] ||
551 멤버 전원의 포즈가 서로 동일하고 유독 엉덩이를 우스꽝스러운 포즈로 과하게 강조한 점[* [[심슨 가족]]의 등장인물인 [[네드 플랜더스]]의 [[https://simpsons.fandom.com/wiki/Stupid_Sexy_Flanders|Stupid Sexy Flanders]] 밈을 패러디 한 것이다.]이 [[대상화#남성의 대상화|남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에 해당될 여지가 있어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다. 이쪽은 상술한 티셔츠 굿즈 사건과 달리 큰 오류를 범하고 있진 않아서인지 당장 내려가지 않고 계속해서 판매하다가 동년 7월 중순 즈음에 판매가 중단되었다.
552 * [[페르소나 5 더 로열]]의 총공격 연출 구도 삽화를 패러디한 [[https://www.instagram.com/p/DLiu7cnSLWk/|팬아트]]를 무단으로 사용하여 티셔츠 굿즈를 판매하여 논란이 된 바 있었다. [[https://www.reddit.com/r/Persona5/comments/1lyocph/kpop_demon_hunters_poses_looks_familiar/|#]] 해당 삽화는 [[http://www.manuelarmonio.com/|마누엘 아르모니오]]라는 텍스처 아티스트가 그린 팬아트로, 당사자도 이를 부정하지 않고 패러디임을 밝혔으나, 정작 자신의 팬아트가 사용된 굿즈가 판매되었다는 정보는 넷플릭스로부터 사전에 들은 게 없다면서 당혹스러워하는 반응을 보였다. 즉, 아무리 2차 창작이라도 엄연히 원작과 별개로 저작권이 존재하는 팬아트를 공식이 멋대로 가져다 쓴 것이다. 결국 이쪽도 동년 7월에 판매가 중단되었다.
553
554=== [[케이팝 데몬 헌터스 AI 합성 음란 영상 논란|AI 합성 음란 영상 피해]] ===
555[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케이팝 데몬 헌터스 AI 합성 음란 영상 논란)]
556
557== 기타 ==
558 * 한국 작품 원작 기반을 빼면[* 그나마도 [[갓 오브 하이스쿨(TVA)|갓 오브 하이스쿨 애니메이션]] 하나 말고는 없다. 물론 갓 오브 하이스쿨이 원작 웹툰부터 [[중국 신화]]인 [[서유기]]를 기반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와 같은 다른 국가의 신화적 요소를 대거 차용하여 혼합한 구성이지만 숭례문을 비롯한 서울시 배경과 등장인물의 이름, [[리뉴얼 태권도]]나 [[쌈수택견]] 같은 일부 설정으로 한국 배경임이 명시된다. 그러나 [[나 혼자만 레벨업/애니메이션|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은 한국어판, 영어판과 달리 일본 내수용인 일본어판에서 등장인물의 이름과 지명이 일본 현지화 버전으로 바뀌게 되므로 한국 배경이 아니게 되는데, 다르게 말하자면 나혼렙의 경우 일본 현지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한국적이라고 할만한 요소가 적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국을 주요 소재와 배경으로 삼은 최초의 외국산 장편 애니메이션이다. 단편까지 포함하면 [[남산타워]]를 배경으로 한 [[미키 마우스]] 단편 애니메이션〈Locked in Love[[https://youtu.be/CHS-XAyBTvY?feature=shared|#]]〉, 게임에서 파생된 미디어 믹스인 [[오버워치]]의 단편 애니메이션 〈[[오버워치 시리즈/단편 애니메이션#슈팅 스타|슈팅 스타]]〉와 [[리그 오브 레전드]]의 [[K/DA]][* HUNTR/X라는 그룹명 표기도 이에 대한 레퍼런스일 수 있다. 공중파 유튜브의 흥행 관련 외국인 인터뷰에서는 (뮤비 시퀀스의) 장대함이 K/DA를 연상시킨다는 반응이 있었다.]〈[[POP/STARS]]〉 뮤직비디오[* 이마저도 지하철 전광판에 "다음역"과 세탁실에 놓인 세제 이름이 한글로 쓰여 있는 것 말고는 배경이 한국임을 암시하는 부분은 없다.]가 있기는 했지만 이렇게 장편 분량으로 제작된 해외산 애니메이션으로는 본작이 최초다.
559 * [[미국 애니메이션]]인 만큼 [[비내재적 언어|작품 밖의 원어 대사는 영어이고, 애니메이션의 입모양도 원래 만들어진 영어판에 더 맞지만]] 한국이 배경인지라 작품 안의 인물들의 대사는 이계인 악귀들의 소굴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한국어일 것이고, 영어판에서도 '가자~' 등의 우리말이나, '후배' 같은 영어에 없는 표현 등은 한국어 단어를 그대로 쓴다. 한국 비속어인 "아이씨" 대사도 두 번 나오며, "루미 님", "조~이~"라든가 "바이"처럼 한국식 음절 단위로 발음을 하는 대사도 종종 나온다. 이는 '설정상' 이들이 작중에서 한국어를 씀을 암시하는 부분. 한국어 더빙도 입모양은 다소 안 맞을지언정 성우 캐스팅과 연기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어판과 영어판의 대사가 조금씩 다른 부분이 있는데, 재관람을 원한다면 언어를 바꿔서 보는 것도 재미있다.
560 * 그리스, 일본[* 일본어판의 경우 대사와 노래에 따라 배역을 나눠서 캐스팅했다.], 러시아, 스페인어(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스페인), 터키어, 포르투갈어(브라질), 프랑스어, 필리핀어, 히브리어, 힌디어에서는 노래까지 더빙했고, 그 외 다른 언어는 전부 노래 파트에서 원어(영어)를 사용한다. 한국어는 별도의 번안을 하지 않은 이유는 애초에 케이팝 가사에서 영어가 섞여있는 경우는 흔하고, 원어에서도 중간중간 한국어 가사가 있기 때문에 위화감이 크지 않아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듯하다.[* 다만, 넷플릭스 특유의 오역 문제일 수도 있으나 작중 헌트릭스가 가사를 짤 때 한국어로 짜거나 목욕탕 할아버지와 귀마가 원래 가사인 'My little sodapop'을 '내 작은 소다팝'이라 번역해서 따라 부르는 장면이 있는 걸 보면 최초에는 번안 계획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추후 한국어 번안곡이 추가된다면 노래에 참여한 이들이 대부분 한국어를 노래에 무리 없이 소화하는 수준이라 다른 국가와는 달리 원곡 가수들이 번안곡에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넷플릭스 코리아에 올라온 [[https://youtu.be/BuSEXqdD5FE|your idol 영상]]에서 한국어 더빙 버전 가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추후 노래들도 한국어로 더빙이 추가될 가능성이 생겼다. 또한 한국판 헌트릭스 성우들([[신나리(성우)|신나리]], [[김도영(성우)|김도영]], [[김예림(성우)|김예림]])이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https://www.youtube.com/watch?v=VjCIAcMfj7I|#]]과 [[How It's Done]][[https://www.youtube.com/watch?v=hwrUf5W4Uqw|#]]을 커버했기에 추후 다른 곡들 역시 성우들이 직접 커버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래 파트를 더빙한 경우 전문 가수가 아닌 성우다 보니 성우의 노래 실력에 언어에 따른 퀄리티가 천차만별인데 특히 히브리어는 도저히 못들어주겠다는 평이 자자하다. 프랑스어 버전 더빙은 의외로 굉장히 호평이 많다. 다만 프랑스인들에게는 소다팝의 가사에 많이 낮뜨거운 단어와 평소에 잘 안 쓰는 단어가 들어가 있어 노래 가사로써 사용된 단어라는 인상이 있다고 한다.
561 * 애니메이션은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부터 보여준 특유의 2D스러운 낮은 초당 프레임 수를 유지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인물들의 동작은 대부분 현실적인 관절의 움직임을 보이지만 소다 팝 공연 중 아주 잠시 안무에서 다리가 휘고 늘어나는 등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시리즈]], [[몬스터 호텔|몬스터 호텔 시리즈]]처럼 만화스러운 과장된 인체 표현이 나타난다.[[https://youtu.be/eny0BqmSwmM?t=148|2분 29초 부근]] 마침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와 디즈니의 [[빅 히어로]]의 리드 캐릭터 디자이너로 유명한 한국계 미국인 아티스트인 [[김시윤(캐릭터 디자이너)|김시윤]]이 본작의 캐릭터 디자인에 참여하기도 했다.
562 *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배경의 3D 애니메이션인 데다가 오컬트, 어반 판타지, 퇴마라는 공통점을 갖고 같은 해에 개봉된 [[퇴마록(2025)|퇴마록]]과 섞은 2차 창작들이 나오고 있다. 사실 공개 예고편이 나왔을 때부터 SNS에서 퇴마록 케이팝 버전이라는 드립이 나왔었고, 개봉 후 둘 다 한국에서 어느 정도 이슈가 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개봉되자마자 X 등 SNS에서 두 작품을 엮은 2차 창작들이 어느 정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563 *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해외 각종 레딧과 SNS에서 인기를 얻자 해외 많은 게임사들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https://bbs.ruliweb.com/ps/board/300001/read/2336543?|콜라보]]하기 위해서 넷플릭스에게 연락을 보내고 있다.[* 제작 및 지원은 소니 픽쳐스에서 했으나 판권은 넷플릭스가 소유하고 있다.]
564 *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측면뿐만 아니라 춤과 가사, 음악 등 다양한 방면으로 분석 리뷰가 올라오고 있다. 전곡 가사를 해석하여 첫 곡부터 마지막 곡까지의 모든 노래의 가사들이 많은 복선으로 소름돋을 정도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https://youtu.be/cTq4rtb85GY|소개]], 초대형 남돌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데뷔곡 Soda Pop의 [[https://youtu.be/QYaFP-lOkAc|안무 분석]], [[Your Idol]]의 [[https://youtu.be/TTPsTbUElRM|안무 분석]] 등 깊이 있고 재미있는 분석들이 늘고 있다.
565 * 구글(크롬)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검색하면 [[이스터 에그]]로, 카테고리와 결과창 사이에 헌트릭스 멤버들이 연호했던 'Couch! Couch! Couch!'(소파! 소파! 소파!)가 지나간다.
566 * 초안에서는 성인향 작품이었지만, 제작사가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아동용 영화로 제작할 것을 제안하여 수용했다. 성인향 작품이었던 흔적은 악귀를 가차 없이 살해하는 헌트릭스와, 루미와 진우와의 썸 묘사는 자제하는 게 오히려 더 자극적이라는 제작진의 인터뷰로 흔적이 남아 있다.
567 * 영화를 인상 깊게 시청한 팬들이 헌트릭스와 사자 보이즈를 [[사이버 가수#버추얼 아이돌|버츄얼 아이돌]]과 유사하게 받아들이며 무대 영상이나 직캠 같은 추가적인 컨텐츠를 요청하기도 하나, [[애니메이션]]과 [[버츄얼]]은 엄연히 다른 영역이라 제작방식이 크게 달라 해당 컨텐츠들이 만들어지기는 어렵다.
568
569 버츄얼 유튜버나 버츄얼 아이돌들의 컨텐츠들은 실시간 방송 또는 이를 녹화한 유튜브 영상이 메인이기에 대부분 [[언리얼 엔진]]이나 [[유니티(게임 엔진)|유니티 엔진]]과 같은 게임에 사용되는 실시간 렌더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이 덕분에 다양한 영상을 비교적 간단하고 수월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모델링이나 최종 아웃풋의 퀄리티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나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픽사]]와 같은 애니메이션 업체가 만들어내는 영상들은 기본적으로 제작 기간 상당히 보장되어야 하는 영상물이고, 모델링과 최종 아웃풋의 퀄리티가 매우 높은 만큼, 대부분 [[Autodesk Maya]]나 [[3ds Max]]와 같은 비실시간 렌더링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거기다 기본적으로 제작 규모가 버츄얼 유튜버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하기 때문에 제작기간이 압도적으로 오래걸리고, 대신 퀄리티가 굉장히 높다. 그렇다고 컨텐츠 양산을 위해 빠른 제작을 하려고 모델링이나 맵핑 등의 품질을 낮추면 원작의 분위기가 살지 않아 원작 훼손이라는 평가를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컨텐츠를 만들어내기가 굉장히 어렵고, 추가적인 컨텐츠가 나오더라도 영화의 일부를 그대로 가져온 뮤직비디오나, 성우 또는 가수를 인터뷰하는 컨텐츠가 한계일 수밖에 없다.
570
571 또한 애니메이션과 버츄얼 영역의 차이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특유의 제작방식에서도 어쩔 수 없는 벽이 존재한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컨텐츠들은 넷플릭스가 제작비를 전부 지원하고, 제작사 측은 리스크를 지지 않는 대신 수익의 대부분과 IP의 소유권을 넷플릭스가 가져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렇다고 제작사의 수익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서 제작비용보다 더 지급을 보장받거나, 흥행 여부에 따른 인센티브를 추가 지급받는 방식으로 최소한의 이득은 보장한다. 다만 이게 극장 개봉으로 벌어 들이는 수익보다 미미한 것이 문제.] 이 때문에 대흥행하더라도 결국 판권은 넷플릭스가, 제작 에셋은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가 갖고 있어 소니 측에서 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2차 영상을 제작하면 넷플릭스만 좋은 꼴이기에 굳이 만들어줄 필요성이 없다.[* 넷플릭스가 수익의 전부를 독식하는 구조 때문에 일견 넷플릭스의 횡포로 보일 수 있겠지만, 제작사가 리스크를 지지 않기에 과감한 작품 도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구조 덕분.] 이 때문에 오리지널 컨텐츠가 흥행하여 추가 컨텐츠를 제작하는 주체는 거의 대부분 넷플릭스 측이다.[* [[오징어 게임]]의 경우도 배우들의 인터뷰 영상 같은 추가 컨텐츠들도 전부 넷플릭스 공식 계정으로 업로드 된다. 오징어 게임과 같은 실사 작품들은 배우들을 불러서 비하인드 이야기를 나누거나 하는 식으로 2차 컨텐츠를 만들어내기 쉽지만,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 상 제작 에셋이 전부 제작사에 있는 만큼 넷플릭스가 단독으로 컨텐츠를 생산해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물론 2차 컨텐츠를 넷플릭스와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계약하여 이에 대한 제작비를 보장받으면 추가적으로 생산할 수는 있겠지만, 3D 애니메이션이라는 영상 특성상 제작 단가와 제작 기간이 상당할 수밖에 없는 만큼 이는 단순히 유튜브용 컨텐츠가 아닌 넷플릭스의 정식 컨텐츠 혹은 2편의 제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572 * 본작이 흥행한 데에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지만, 해외 팬들 사이에서는 그간 [[월트 디즈니 컴퍼니|디즈니]]와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픽사]], [[드림웍스 애니메이션|드림웍스]]를 비롯한 미국 애니메이션 3강 체계를 담당하는 3사가 작품성보다 메시지 전달에 치중하거나 이미 사용한 소재를 또 사용하는 매너리즘에 빠져 정체된 사이 소비층 사이에서도 누적된 이러한 불만을 케데헌이 어느 정도 해소해주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573 * 케이팝 데몬 헌터스라는 영어식 제목을 한국어로 풀어서 '우리가락 [[마라 파피야스|마구니]] 사냥꾼'이라고 풀이하기도 하는데, 이는 한국 버추얼 유튜버 [[향아치]]의 본작 리뷰 영상인 [[https://youtu.be/t9zuDgfkyFw|우리가락 마구니 사냥꾼 후기]] 제목에서 따왔다.
574 * 오리지널 컨텐츠가 한정적이라서 2차 창작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327|비밀을 밝힐 수 없는 루미]],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342|아이돌 경험이 있었던 귀마]],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407|헌트릭스 짤]],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354|집을 잘못 찾아온 미스터리]],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649|조이는 두번 묻지 않는다]]
575 * 작중 등장하는 루미의 팔찌는 국화매듭, 생쪽매듭, 도래매듭, 그리고 평매듭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https://youtu.be/najVS7TzVGg|#1]] [[https://www.instagram.com/p/DL_-pXmpE2g/|#2]]
576 * [[삼성전자]]와 [[넷플릭스]] 협업의 결실로 공식 케이팝 데몬 헌터스 테마와 배경화면이 공개되었다. 삼성 갤럭시폰 사용자면 누구든지 내려받을 수 있으며 [[갤럭시 스토어]]에서 [[넷플릭스]] 앱을 설치하고 이벤트 페이지로 이동하면 내려받을 수 있다.
577 * [[한국경제신문|한국경제]]에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81267211|'케데헌' 1조 잭팟 터졌는데…수익은 美·日이 '싹쓸이']]란 기사를 올렸다. 당연하지만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다. 애초에 이 작품은 한국적 소재를 다룬 [[미국 애니메이션]]이다. 작품 자체의 수익은 공식 콜라보를 하지 않은 이상 한국과는 전혀 무관하다. 또한 본작의 흥행으로 인한 한국 관련 컨텐츠의 인지도 급상승이라는 간접적인 이득을 전혀 고려하지 못했으며 앞서 말했듯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은 미국에 위치한지라 본작의 흥행으로 일본이 보는 이득은 크게 없다.
578 * 작품의 흥행 이후 케데헌이 미국 애니냐 일본 애니냐를 두고 언론이나 웹상에서 큰 논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모기업인 소니가 일본 기업이므로 일부 일본 네티즌들은 '일본 애니의 쾌거'라고 주장하지만, 정작 제작한 스튜디오인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는 미국 기업이므로, [[칼리스토 프로토콜#s-8.1|칼리스토 프로토콜 국적 논란]]에서도 이미 잘 서술되어 있지만 이러한 국적 논란은 보통 모기업이 아닌 스튜디오 위치로 판단하므로 [[미국 애니메이션]]으로 분류하는게 옳다. 케데헌이 일본 애니라는 논리라면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산하의 [[인섬니악 게임즈]]의 [[Marvel's Spider-Man]] 시리즈나, [[번지(게임 회사)|번지]]의 [[헤일로 시리즈]], [[데스티니 시리즈]] 등을 일본 게임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수준이다. 반대로 일부 [[국뽕|자극적이고 과격한 애국]] 성향의 네티즌은 한국인/한국계 비중이 높으니 사실상 [[한국 애니메이션]]이라며,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영향을 과소평가하거나 조롱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제작 주체가 한국계라고 한국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은 [[트랜스포머 더 무비]]가 [[넬슨 신]]과 ACOM에서 만들었으니 사실상 한국 애니라는 반응과 같다.
579 * 소니 픽쳐스 애니메이션 유튜브 채널의 영상들 중에서 케데헌 영상만 유독 조회수가 월등히 높은 위엄을 보여준다. 다른 영상들은 조회수가 많아도 500만을 넘기는 게 무척 드문데 반해서 케데헌은 트레일러만 600만을 넘고 트레일러를 제외한 모든 영상들이 수천만~1억 이상의 조회수를 보여주고 있다. 조회수가 낮아도 2천만대이며 골든은 무려 1.9억 회로 2억을 바라보는 수준이다. 넷플릭스에서 올린 영상들도 수백만~수천만대의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580
581=== 제작 관련 ===
582 * 그룹명 후보로는 [[HUNTR/X|헌트릭스]]와 더불어 다이아시(Diacy)[* 다이아몬드의 왕조(Dynasty of Diamond)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빛을 발산하는 다이아몬드처럼 다양한 매력을 지닌 그룹을 상징한다고 한다.]라는 이름도 있었다고 한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7339421545918646|#]]
583 * 계획 도시가 아니라 세월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강, 구옥과 문화유산, 현대 고층 빌딩이 어우러진 [[서울특별시]]의 특색이 잘 묘사됐다. 제작진은 이러한 서울다움을 잘 표현하기 위해 특히 신경을 썼다고 한다. 실제로 대도시, 특히 수도에 빌딩 숲과 산과 강이 어우러져 나타나는 구조는 세계적으로도 드물기에, 외국인들이 특색있게 여기는 서울의 대표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특히 제작 컨셉집에 "벽같은 고층빌딩·담요같은 저층빌딩·그들을 감싸는 산(을 묘사하라) / 과하게 높은 빌딩과 중간급 빌딩 군집을 피해라-너무 뉴욕 같다! / 다양한 크기 빌딩을 산없는 평야에 뿌리지 마라-너무 도쿄 같다!"라 해 독창적인 [[스카이라인]]을 신경 썼음을 알 수 있다. [[https://damoang.net/free/4284640|※]][* [[뉴욕시|뉴욕]]이나 [[도쿄도|도쿄]]는 평야지대에 건설된 도시라 분지 지형에 건설된 서울과는 기본적으로 그 풍광에 차이가 있다.]
584 * 실존 [[K-POP]]이 작중 직접 인용되기도 한다. 중간에 비춰지는 음악 순위 차트에서 [[HUNTR/X|헌트릭스]]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s-2.2|How It's Done]]이 압도적 1위를 차지하는 와중에 2위는 [[TWICE]]의 [[Strategy(노래)|Strategy]]로, 실제 [[OST]]로 삽입됐다. 반대로 TWICE의 [[TAKEDOWN(TWICE)|TAKEDOWN]] 뮤직비디오에서는 TWICE의 Take Down이 How It's Done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온다.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첫 등장 씬에서는 [[EXO]]의 [[LOVE ME RIGHT]]이 등장하고 극 중반 공연 대기실 장면[* 1:04:20 부분]에서는 [[TWICE]]와 [[MEOVV]]의 포스터가 배경으로 등장했다.[* 영화 수록곡의 작곡은 대부분 [[테디(원타임)|테디]](YG의 [[BIGBANG]], [[2NE1]] 곡을 작곡)를 포함한 [[THEBLACKLABEL]] 소속 프로듀서들이다. 그래서인지 THEBLACKLABEL 소속 가수인 MEOVV의 포스터가 등장한 것.] 게다가 90년대를 풍미한 한국 가요들도 상당히 많이 나오는데, 콘서트장에서 울려 퍼지는 음악 중 하나로 [[듀스(음악그룹)|듀스]]의 [[나를 돌아봐]]가 나왔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 잘 들리지는 않지만 진우가 성벽에서 루미를 기다릴 때 작게 나오는 배경음악은 [[서태지와 아이들]]의 [[서태지와 아이들 1집|이 밤이 깊어가지만]]이다.[* 49분 20초부터] 심지어 바비의 전화벨 소리에서 나오는 노래는 [[신라의 달밤(가요)|신라의 달밤]]의 [[이박사]] 버전이다.[* 절묘하게도 이박사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일본)|일본 소니 뮤직]]에 한때 소속되어 있었다.]
585 * [[한국 드라마]] 《[[사내맞선(드라마)|사내맞선]]》의 OST인 [[멜로망스]]의 [[사랑인가 봐]]가 삽입곡이자 이 작품의 정식 OST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는 《[[사내맞선(드라마)|사내맞선]]》의 남자 주인공인 [[강태무]]역을 맡은 것이 [[진우(케이팝 데몬 헌터스)|진우]]의 성우인 [[안효섭]]이라 일종의 [[배우 개그]]로 볼 수 있기도 하다.[* 작중에서 진우와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루미]]가 만날 때 이 음악이 흘러나오는데, 한국 드라마에서의 전형적인 남주-여주의 만남 장면을 패러디한 장면이다.] 감독인 매기 강이 안효섭의 캐스팅을 결정 지은 것도 《사내맞선》에서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씬을 봤기 때문이라고 한다.[* 참고로 [[안효섭]]은 만 6세에 캐나다로 이민 가서 캐나다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마치고 한국에서 또래들과 학교를 다니길 원해 [[청담고등학교]]로 고등학교 1학년부터 다시 다녔다.]
586 * 진우는 조선 시대 악사였으며 현재 유명 아이돌 가수로 활동 중인데, 안효섭이 드라마 데뷔작 《[[퐁당퐁당 LOVE]]》에서 조선 시대 음악가 [[박연]], 현재 시점에선 가수 역할을 맡았던 것을 떠올려 보면 안효섭 관련 [[배우 개그]]가 또 하나 성립된다.
587 * 한국계 제작진들에 의하면, 제작 과정 중 한국적인 요소를 넣으면서도 그 역사성을 지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어필을 했다고 한다. 다양한 참여 아티스트들이 아트워크들을 공개하거나[[https://www.fmkorea.com/best/8568158832|#]][* 아트워크를 마음대로 공개해도 되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으나 미국 제작 애니메이션의 경우 공개 후 (특히 퇴사한) 제작진들이 아트워크를 공개하는 행위는 매우 흔하다. 회사의 재산보다는 개인의 작업물이라는 개념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X에서 팬들의 질문에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활발하게 답해주는 중이다.
588 * 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일부러 [[김치]]는 아예 언급하지 못하게 했다. 김치는 한국의 너무 뻔한 [[스테레오타입]]이고 한국의 다른 다양한 음식들을 소개하고 싶어서 그랬다고 한다. [[https://www.salon.com/2025/06/27/kpop-demon-hunters-korean-food/|#]]
589 * 영어 더빙판 성우는 [[리자 코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한국계 인물로 캐스팅했다.
590 * 한국어 녹음 음성은 [[픽셀로직#대한민국|Pixelogic APAC]]에서 제작했으며, 번역은 서승희, 연출은 김형석이 담당했다.
591 * [[소니 엑스페리아]]가 작중 등장인물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나오는데, 이는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소니|모회사]] PPL로 추정된다. '''2024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1 VI]]로 추정되는데 실제론 소니 엑스페리아는 '''2018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XZ3]]를 마지막으로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물론 해외직구로 어찌어찌 구할 순 있겠지만 한국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중 소니 비율은 1% 미만이기 때문에 [[간접광고|PPL]] 때문에 [[창작물의 반영 오류|현실성을 포기한 묘사]]라 볼 수 있다. 애초에 대한민국의 모바일 시장은 [[삼성 갤럭시]]와 [[Apple]]의 [[iPhone]]이 다수인 걸 보면 더더욱. 다만 케이스를 끼고 있기도 하고 [[삼성전자]]의 [[갤럭시 S25]]나 [[갤럭시 A 시리즈/2025년|갤럭시 A 시리즈(2025년)]]와도 비슷하게 생겨서 위화감이 큰 편은 아니다. 다만 일부 장면에서는 2013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Z 울트라]]가 나온다.
592 * OST에 [[THEBLACKLABEL]]의 프로듀서들[* [[테디(원타임)|TEDDY]], [[24(프로듀서)|24]], ido, [[Dominsuk]], [[KUSH]], [[Vince]], [[Danny Chung]] 등.]이 참여했다. [[https://theqoo.net/square/3794870301|#]]
593 * 안무는 [[리정]]과 [[JAM REPUBLIC]] 그리고 [[K-TIGERS]]가 참여했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6100792387486201|#]] [[https://youtu.be/LwrzUXEa4Xc|SODAPOP 안무가버전]] [[https://youtu.be/UjNoK78cylE|Golden 안무가버전]] [[https://youtube.com/shorts/guiLXtGzlIc|Your Idol 안무가버전]]
594 * [[HUNTR/X|헌트릭스]]의 보컬 파워를 상징하는 색상 연출은 처음에는 '''골든 혼문'''이라는 단일하고 이상적인 색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캐릭터의 성장과 테마에 맞지 않는다는 제작진의 고민 끝에 '''레인보우 혼문'''으로 변화되었다. 이 레인보우 혼문은, 각자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연결됨으로써 더 깊은 유대를 형성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극중 새로 만들어진 혼문의 색은 이전과 달리 한 가지 색상이 아닌 프리즘처럼 무지갯빛으로 은은하게 빛나고 있다. [[https://www.cartoonbrew.com/feature-film/the-directors-of-kpop-demon-hunters-discuss-the-unexpected-challenges-of-making-an-animated-k-pop-film-247998.html|인터뷰 원문]]
595 * 합동 [[팬사인회]] 장면은 [[https://www.forbes.com/sites/laurasirikul/2025/06/19/kpop-demon-hunters-director-on-getting-k-pop-culture-down/|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처음엔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 즉 아육대를 소재로 쓰려고 했다고 한다. 하지만 임원들이 '대체 왜 아이돌이 [[허들]]을 뛰고 [[양궁]]을 하는 거죠?'라며 이해를 하지 못하는 바람에 팬사인회로 대체한 것이란다. 다만 아트디렉터도 아육대 소재는 스토리적으로 문제가 많아[* 방송국 말고는 모두 달가워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라, 작중 헌트릭스 급이면 출연하지 않는다.] 제외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7196577627750540|#]]
596 * 개봉 직후 굿즈가 [[https://theqoo.net/square/3798716403|제작진 한정 배포품]]으로 언급될 뿐 판매되지 않아 팬들의 아쉬움을 샀으나, 얼마 뒤 [[https://www.netflix.shop/en-kr/collections/kpop-demon-hunters|공식 상품 판매처]]가 생겼다. 가장 이목을 끄는 상품은 위의 제작진 한정 배포로 아쉬움을 샀던 '''더피 인형'''.[* [[꿩 대신 닭]]이라고, 더피 인형 공식 굿즈가 나오기 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까치 호랑이 배지가 완판되는 사태가 벌어졌었다. [[https://www.museumshop.or.kr/kor/product/product_view.do?str_bcode=1002008&str_goodcode=202408300002|#]]]
597 * 소니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 인터뷰[[https://youtu.be/X8pBf88ycCo|#]]에서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는 원래는 케이팝이 없고 Demon hunter라는 소재만 있었는데, 이후 이 구상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K-POP이 추가되었다고 들었다고 한다. 매일경제와 진행한 메기 강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https://www.mk.co.kr/en/hot-issues/11352173|#]]이 작품은 본래 메기 강 감독이 드림웍스를 나온 후, 워너 애니메이션에서 잠시 몸을 담았을 때, 구상이 시작된 작품으로 한국 문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가 나왔으면 멋질 거라는 생각을 품고 있다가 감독이 된 뒤 한국의 Demon(저승사자, 물귀신, 도깨비 등)의 디자인이 멋져서 Demon hunter를 구상했고 그 뒤로 Demon hunter의 정체를 숨기는 직업을 고민하다가 케이팝을 선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메기 강 감독이 이 구상을 구체화한 시기는 본격적으로 BTS를 시작으로해서 K-POP 아이돌 그룹들이 미국을 비롯해서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한 인기를 끌기 시작한 시기와 맞아떨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재를 구매할 여러 회사들을 찾고 있었는데, 이때 소니는 한국문화 중심의 아시아 배우들로만 채우는걸 큰 모험으로 생각해 거절 했다고 한다. 그래서 넷플릭스에 제안했는데 넷플릭스에서 아주 좋아했고 메기 강 감독과 아펠한스 감독 등 제작진이 모두 소니 직원이었기 때문에 넷플릭스와 소니의 협업을 통해 소니팀으로 제작했다고 한다. [[https://www.thepopverse.com/movies-kpop-demon-hunters-sony-pictures-animation-netflix-relationship|#]] 그외에도 제작 기간에 대해 밝혔는데, 중간에 코로나 때문에 딜레이가 있어서 길어져 7년 걸렸다고. 만약 코로나가 없었다면 작품 제작에 5~6년 정도 걸렸을 것이라고 한다.
598 * 본 작품의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곰나'가 소니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와 진행한 [[https://youtu.be/QEWqMn9mf98|후속 인터뷰]]에 따르면, 마감 기한이 다가오는데도 제작 진척도는 목표치에 못 미쳤고 제작 일정이 매우 타이트하게 진행되었다고 한다. 특히 작품 내의 한국 문화 구현이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었다고 하는데, 제작팀 내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은 아예 공간을 따로 마련해서 모인 후, 실시간으로 영상이 제작되면 그걸 다시 검토하고 의견을 취합한 후 피드백하는 힘든 과정을 반복했다고 한다. 비한국계 애니메이터들의 경우 한국 문화를 잘 몰라서 잘못되거나 어색한 장면을 구현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예를 들면 삭제된 부분 중에는 루미가 '''뜨거운 국밥 뚝배기를 컵처럼 손에 말아쥐고 젓가락으로 국밥을 찍어먹는''' 장면도 있었다.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421281|#]][* 이는 아래 문단에 서술되어 있는, 본작의 배경 아트 디렉터 Celine Dahyeu Kim의 X(트위터) 내용에서도 일부 드러난 부분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마감 기한은 정해져 있는데 현실성에 맞도록 구현하는 문제로 수정을 반복해야 했으니, 이 때문에 제작진 내부에선 상당한 갈등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제작 후반기에는 이런 실수를 일으킬 가능성이 낮은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이 전담하게 되면서 제작 속도가 훨씬 빠르게 진척되었고, 이에 따라 업무 분배를 맡는 관리자 측에서도 많은 작업을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에게 맡기는 방식으로 작업을 효율화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이후 후속작 제작이 진행된다면, 소니 입장에서는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아예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이 주축이 된 팀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
599 * 감독 '매기 강'에 따르면 처음 귀마 콘셉트는 아이돌이 되고 싶어했기 때문에 [[박진영]]을 캐스팅하고 싶었다고 한다. [[https://youtu.be/KVndGYHjp7U?t=438|#]]
600 * 본작 제작진 중 유일한 한국인 [[모델러#3D 모델이나 캐릭터를 제작하는 사람|3D 모델러]]인 류인선의 인터뷰 영상[[https://youtu.be/xam3YtVTCmo|#]]에서 밝히기를 초반부 HUNTR/X 전용기 안에서의 탄수화물 파티 장면에 나온 김밥, 순대나 중반부 설렁탕을 비롯한 작중 모든 한국 음식 및 진우의 회상 장면과 루미와 진우의 밀회 장면에서 나온 각종 한옥들을 묘사한 3D 모델 제작을 모두 혼자서 맡았다고 한다. 정작 작가 스스로는 시간에 쫓기며 작업한 탓에 음식 묘사의 디테일이 부족했다고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601
602=== 배경 아트 디렉터 관련 ===
603본작의 배경 아트 디렉터로 참여한 Celine Dahyeu Kim(김다혜)는 X를 통해서 팬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여러 비하인드나 컨셉아트 등을 공개하기도 했다. 그러나 X 활동과 관련하여 후술할 이유로 잡음이 난 탓에 구설수에 올랐다.
604
605==== 롯데월드타워 저작권 허가 관련 ====
606>천만다행으로 남산타워 저작권 허가를 얻어서 백만배는 수월했습니다. 아니었으면 좀 많이 슬펐을지도...'''보고 있니 롯데타워?'''
607김다혜는 [[남산서울타워]]의 사용권 허가는 받아 작품에 등장시킬 수 있었지만, [[롯데월드타워]]는 불발되어 작품에 등장하지 못했단 얘기를 하며 "보고 있니 롯데타워?"라는 저격성 트윗을 작성했으며, 본인의 인스타그램에서 롯데를 향해 [[감다뒤|좋은 기회를 놓쳤다]]는 등의 비난을 하는 팬들의 [[:파일:케데헌 아트 디렉터 롯데타워 사용 불허 주장.jpg|댓글]]에 좋아요를 누르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롯데물산]] 관계자에 따르면 작품 측으로부터 디자인 사용에 대한 문의를 받은 적이 없다고 하며, 일반적으로 영상물 촬영이나 CG 활용 요청이 들어올 경우 별다른 제약 없이 협조하고 있다고 한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354603|기사]] 부서간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관련문의가 있었다는 사실을 관련 부서에서 전달받지 못해 양측에 오해가 있었거나, 아니면 애초에 둘 중 한 쪽의 주장이 거짓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608
609한국 웹 커뮤니티에는 롯데월드타워 측이 마치 반지의 제왕 사우론의 탑 처럼 악의 본거지로 쓰이게 될 것 때문에 거절했다는 설과 함께 그럴듯한 컨셉 아트로 추정되는 이미지에 유튜브 쇼츠까지 돌았으나[* 이런 루머가 떠돌아다녔을때 조차도 네티즌들은 "[[바랏두르|사우론의 탑]] 같아서 오히려 [[간지(유행어)|간지]]나지 않는가? 롯데가 큰 마케팅 찬스를 놓쳤다"라는 반응을 내비쳤다. 다만 이건 롯데타워도 [[롯데월드몰]]처럼 일반 상업시설인 줄 아는 사람들이 많기에 나오는 것으로, 롯데타워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시그니엘]] 호텔/레지던스 입주자들 입장에서는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이는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search_type=member_srl&search_key=5163234|한 루리웹 이용자]]가 [[ChatGPT]]로 만든 가상의 그림이었고, 해당 이용자도 그저 추측이었다고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196463|자백했다]]. 김다혜가 밝히기로는 만약 롯데월드타워의 라이센스를 받는 데 성공했다면 부정적으로 등장하기는커녕 오히려 [[:파일:1000011938.jpg|헌트릭스 타워]][[:파일:1000011941.jpg|#]]로 사용될 예정이었다고 한다.[[https://www.dogdrip.net/642784548|#개드립]] 라이센스를 얻지 못해 현재[* 롯데월드타워와 MCU의 [[어벤져스 타워]]를 결합한 듯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와 같이 디자인을 변경했다고 한다. 그러나 작중 위치 상으로는 롯데월드타워와 동일 위치로 묘사된다.
610
611한편 아그네스 리 프로듀서는 8월 8일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한 자리에서 롯데가 롯데타워 관련해 협조를 거절했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고 못박았으며,[[https://www.ddanzi.com/broadcast/855033846|#딴지일보]] 제작팀 내부에서도 해당 주장을 부정하는 증언이 나왔다보니 김다혜 쪽 주장의 신빙성이 더 잃어진 상황이다.
612
6138월 15일, X 활동에 복귀한 김다혜는 롯데타워 발언은 단순히 농담이었으며, 확인 결과 롯데타워는 저작권 허가를 주었다고 주장을 번복했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56011583454503037|#]] 또한 해당 혼선은 자신의 책임이 아니나 안타깝게 생각하며, 롯데타워에 대한 저격성 의도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614==== 고위직 갑질 주장 ====
615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편 검토 중이라는 기사에 "다음 한국인 미술감독 희생자는 누구?" 라는 의미심장한 글을 올렸고, 이후 제작 과정에서 제작팀 내 특정 고위직의 아트팀 전체를 향한 차별과 저격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본인을 포함한 프로덕션 디자이너, 캐릭터 아트 디렉터가 동시에 퇴사한 상태이며, 후속작을 만들더라도 소니 측에서 안 부를 것 같다고 밝혔다. [[https://www.fmkorea.com/best/8568509499|#펨코]][[https://www.dogdrip.net/641924669|#개드립]][[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205196|#루리웹]] 다만 제작팀 내 한 상사의 문제일 뿐 소니 임원진들 쪽은 잘 대해주었다면서 회사를 향한 비난은 삼갈 것을 당부했다. 이후에는 본작에 참여한 여러 아티스트들과 [[넷플릭스]] 쪽 제작팀으로 이적했다고 밝혔다. [[https://www.dogdrip.net/641946351|#개드립]] 상술한 고위직 갑질 주장 이후 6월 25일 경, 김다예는 X 계정을 삭제하고 인스타그램을 통해 "트위터[* 현재 명칭은 X지만 본인이 구 명칭인 트위터로 표기함에 따라 당사자의 발언을 그대로 인용한 경우에는 트위터로 표기한다.] 특: 남한테 감놔라 배나라 할말이 많음. 저는 제가 한 말에 단 일말의 후회도 없고 걱정을 빙자한 참견이 너무 많아 트위터를 닫게 되었습니다. 업계 일한지 10년차입니다. 해야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은 제가 더 잘 압니다."는 입장문을 작성했다. [[https://theqoo.net/square/3800702313|#더쿠]][* 다만, 업계 10년차, 20년차를 넘은 디렉터나 임원급도 종종 실언이나 논란성 발언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사례는 수두룩하기 때문에 업계 연차가 길다고 발언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연차가 쌓였지만 비하인드 스토리 공개는커녕 오히려 말을 극도로 아끼는 경우도 많다.] X를 닫은 원인과 관련하여, 김다예를 향한 사이버불링이 있었다거나[[https://x.com/warden_sasha/status/1937678225720971420|#]], 김다예가 걱정을 전한 팬의 트윗을 박제했다[[https://x.com/ssun_sueun/status/1937577482351444419|#]] 하는 등의 말들이 있지만, 아카이빙이 되기 전 X 계정을 삭제하며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다. 다만 이후 X 계정이 부활하며 일부 글들을 확인 가능해졌는데, 일부 사람들이 김다예 본인은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음에도 '타 팀원들 욕을 했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했었다고 한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7578595016409196|#]]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7572585749049586|#]]
616
617김다예 본인이 인스타그램에서 '걱정을 빙자한 참견이 너무 많아 X를 닫았다'라고 밝힌 것으로 보아 특정 네티즌들로부터 공격적인 멘트를 받았다고 생각하는 것 까지는 사실로 보인다. 이후 김다예가 X에 돌아와 개인이 써치 방지까지 한 트윗을 캡처 박제하여 사이버 불링을 시도했고 그 이후 1시간도 되지 않아 계폭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증거는 없다.[* 다만 한 팬이 김다예와 대화를 나눈 [[https://x.com/ssun_sueun/status/1937577482351444419|기록]]으로 보아, 아트디렉터가 실제 본인에게 걱정어린 조언을 건넨 팬의 트윗을 캡쳐하여 올렸던 것 자체는 사실로 보인다. 아트디렉터가 답변을 남긴 흔적도 있으나 원 트윗 작성자가 재 답변한 내용을 보면 아트디렉터 본인도 조언 자체는 정중한 말투였음을 부정하지 않은 것이 확인된다. 결국 아트디렉터가 팬이 한 말의 의도를 왜곡하여 받아들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 사실 김다예의 주장이 논란을 일으킨 것은 다른 SPA 퇴사자들이 추가 증언을 하고 있지 않아 시청자들 사이에서 진위 여부에 대해 갑론을박이 이어진 측면도 있다. 더군다나 미국 애니메이션 업계는 한 프로젝트가 끝나면 스태프들이 더 좋은 계약 조건을 오퍼 받고 이직을 하는 것이 국내 게임 업계처럼 번번히 일어나는 곳이기에 결국 하나의 주장만을 가지고 섣부른 판단을 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는 네티즌들의 반응이 더 많다.[* 당장 케데헌의 감독인 메기 강만 하더라도 SPA에 오기 전까지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 등을 전전했다. 오롯이 특정 직원 한 명 탓에 케데헌의 스태프들이 줄사직했다는 김다예의 주장을 사람들이 바로 믿지 않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이후 '본인에게 갑질을 했던 임원이 현재는 소니에 남아있지 않다'는 취지의 [[:파일:케데헌 아트디렉터 소니 임원 퇴사 주장.jpg|게시글]]을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했으나, 이에 대해 객관적인 외부 기사 등으로 사실확인은 되지 않았다. 내부적으로만 소문이 돈 것인지 애초에 사실 무근인지는 불명.
618
619==== X 복귀 후 ====
620이후 7월 16일 X 계정을 복구한 후 활동을 재개했다. 그리고 7월 28일, '일부 한국인에게 사이버 불링을 당해 계정을 닫았었다'고 주장하는 장문의 글을 남겼다. 원문은 영어로만 작성되었으며, 편의상 한국어 번역을 같이 첨부한다.
621
622>To clarify. My account was closed due to getting cyberbullied by a “small group” of Koreans who just LOVeD to bloat my words written in Korean. This happened when I was posting in Korean to communicate with Korean ppl about KDH.
623>(정확히 말하자면, 제 계정은 사이버불링 때문에 닫혔어요. 소수의 한국인들이 제가 쓴 한국어 문장을 마구 왜곡하면서요. 이 일은 제가 케데헌에 대해 한국 분들과 소통하려고 한국어로 포스팅하던 중에 벌어진 일이에요.)
624>They were putting words into my mouth and telling me I will get ostracized from the industry for speaking up about toxic work environment. Not only that, they were twisting my jokes into something far bigger and malicious, unnecessarily.
625>(그 사람들은 제 말을 멋대로 해석해서 제 입에도 안 담은 말들을 퍼뜨렸고, 제가 직장 내 유독한 환경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는 이유로 업계에서 매장당할 거라고 협박하기도 했어요. 게다가 단순한 농담조차도 의도 이상으로 악의적으로 확대 해석하더라고요.)
626>And now they are mad that I am calling out the toxic traits of Korean twitter/ online behaviors? 🤣
627>(그런데 이제 와서 제가 한국 트위터/온라인 문화의 독성 문제를 지적했다고 화를 낸다고요? 🤣)
628>Empahsis on the “small group” btw most Koreans were very supportive and caring for what I was going through and I love them to death 🫰❤️🫶
629>(물론 ‘소수’였다는 점은 꼭 강조하고 싶어요. 대부분의 한국 분들은 정말 따뜻하고, 제가 겪은 일에 대해 진심으로 공감해 주셨어요. 그런 분들 진짜 사랑해요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49509842185359504|#]]([[https://archive.is/sKJm0|a]])
630
631>I wrote it all here! Basically got cyberbullied by a small group of Koreans for making a joke about corporate building, art directing (cuz I had a really tough time working on Kpop) and exposing someone who cyberbullied ME.
632>(여기에 전부 썼어요! 요약하자면, 제가 어떤 회사 건물에 대한 농담을 하고[* 롯데타워 관련 얘기로 추정된다.], (K-pop 작업하면서 진짜 힘들었거든요) 아트 디렉팅한 거랑, 저를 사이버불링했던 사람을 폭로했다는 이유로 소수의 한국인들한테 사이버불링을 당했어요.)[[https://x.com/celinekim218/status/1950932141816099082|#]]([[https://archive.is/tXDEq|a]])
633
634이후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AI 합성 음란 영상 논란|소다팝의 AI 음란 합성 영상]]을 제보받고 넷플릭스 법무팀에게 전달하게 되는데, [[케이팝 데몬 헌터스 AI 합성 음란 영상 논란]] 문서 참조.
635
636=== 후속작 가능성 ===
637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41개국에서 [[넷플릭스]] 1위를 기록했고 그 외 90여 개국에서도 최상위권을 기록하는 등 상당한 인기를 모으자, [[넷플릭스]] 측은 전통문화와 현대 대중문화의 융합이 시청자들에게 신선하게 다가간 것 같다며 본 작품에 대해 '''속편과 시리즈화'''를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 밝혔다.[* 넷플릭스와 소니 측에선 이렇게 많이 뜰지는 몰랐다고 했는데, 홍보를 푸드트럭 한 대에 컵라면을 파는 게 전부였고 흔히 흥행할 영화의 인트로에서는 바리에이션으로 나오는데 해당 영화는 평범한 인트로를 냈기 때문이다.] 매기 강 감독도 후속 스토리에 대한 여러 아이디어가 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https://youtu.be/4qY7XMiY7dY|#]] 넷플릭스의 발표에 대한 팬들의 반응은 환영 일색으로, 속편 역시 실사화가 아니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미 상당한 팬층과 인지도를 확보한 상황이기 때문에 속편이 나올 경우 더 큰 예산 지원을 통한 영상미와 스케일의 상승을 기대하는 팬들도 적지 않다.
638
639다만 제작사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은 당장 2026년에는 [[고트(2026년 영화)|고트]] 개봉을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고,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가 2027년 개봉을 위해 사전 제작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후속작을 동일한 제작사에서 맡게 된다면 단기간에 작품을 내놓기는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를 기다리는 스파이더버스 팬들에게서 본작이 눈엣가시로 여겨졌는지 "비욘드는 어디 가고 이런 게 나오냐" 같은 비아냥 같은 반응이 꽤 있었는데, 본작은 2021년부터 기획된 것을 고려하면 억까에 가까운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본작의 후속작을 원하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팬들이 비욘드보다 먼저 빨리 본작의 후속작이 나와야 된다는 억지를 부르는 경우도 꽤 있어 [[팀킬|양쪽 모두 같은 회사 작품임에도 서로를 까는 신기한 상황]]을 볼 수 있다.] 더군다나 한국 배경의 뛰어난 현실적 구현 등 아트팀의 역할이 본편의 호평에 큰 역할을 했는데[* 한국 목욕탕에서 흔히 사용되는, 본래는 [[온천]]을 의미하는 기호 ♨의 사용, '[[라면]]' 등의 한국어.], 상술했듯 해당 배경 아트 디렉터 등이 퇴사 상태임을 밝혀 후속작 제작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는 우려도 나온다.
640
641[[포브스(기업)|포브스]]에 글을 기고하는 작가인 폴 타시는 자신의 [[X(SNS)|X]] 계정을 통해 [[뇌절#s-3.1|두 편의 속편과 프리퀄, TV 시리즈, 그리고 실사 영화까지]] 넷플릭스에서 제작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이는 개인 생각으로 답변한 글로, 이렇게 성공했는데 당연히 후속작들이 나올 것이라고 극찬하는 어투다. 애초에 넷플릭스 관계자도 아니고, 나온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시점에 저렇게 많은 프로젝트를 확정짓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외에도 확정이 되었다는 듯이 언급하는 글들이 많으나 [[어그로|전부 루머에 불과하며]], 아직까지 후속작 여부는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지만 2기가 나올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642
r2
643[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케이팝 데몬 헌터스, version=2608, uuid=9b8124aa-df33-4b49-8d80-675f66be81c0)]
644